목차
제1장 서론
1.1. 논의의 목적
1.2. 3원적 병렬 체계와 개념의미론
1.3. 논의의 구성
제2장 한국어 시간요소들의 형태통사론
2.1. 들어가기
2.2. 시제 논의의 전제: '-느-', '-더-', '-았었-'과 '상 보조동사'
2.3. 시간요소의 시간적 의미와 문법범주: '-었-'을 중심으로
2.4. 관형적의 시간요소: '-은'과 '-을'
2.5. 마무리
제3장 한국어 연결어미 문장의 통사구조
3.1. 들어가기
3.2. 앞선 연구 검토: 시간 선어말어미의 위치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3.3. 연결어미 절들의 구조적 차이
3.4. 명시어 구조와 부가어 구조의 통사적 증거 검토
3.5. 마무리
제4장 무시제 가설 하에서의 시간 해석 방법
4.1. 들어가기
4.2. 시간구조(TS)의 형성과 제약
4.3. 시점일치 규칙(SOT)의 적용을 받는 복합문 구조
4.4. 발화시-참조시 공유 규칙(RTC)의 적용을 받는 연결어미 문장 : 제4유형
4.5. 마무리
제5장 참조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연결어미들
5.1. 들어가기
5.2. 명시어 구조 연결어미 문장의 통사적 특성
5.3. 명시어 구조 연결어미 문장의 시간 해석
5.4. 시간 해석 규칙의 기술과 규칙의 적용 절차
5.5. 마무리
제6장 개념의미론과 시간 해석 절차의 기술
6.1. 들어가기
6.2. 개념의미론의 체계와 담화의 표상
6.3. 다른 접근 방법과의 비교
6.4. 마무리
제7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