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제1장 영화의 등장
1. 영화 속의 역사
2. 계급과 영화
3. 소통과 영화
4. 속도와 영화
제2장 영화의 진보성과 보수성, 독일 표현주의 영화, 1919~1924
1. 표현주의의 개념
2. 표현주의의 역사성
3. 표현주의 영화의 진보성과 보수성
제3장 현실재현으로부터의 이탈, 1920년대 아방가르드 영화 1921~1930
1. 아방가르드의 이념과 전개 과정
2. 아방가르드 영화의 존재 이유
3. 현실재현으로부터의 이탈
제4장 영화의 정치적 기능화와 창작으로서의 영화,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22~1930
1. 혁명 이후 영화의 정치적 기능화
2. 예술 창작 이론 투쟁과 영화
3. 창작으로서의 영화
제5장 현실과 감성을 넘어, 프랑스 시적 리얼리즘 영화 1933~1945
1. 불의 십자가와 인민전선
2. 현실과 감성을 위하여
3. 현실과 감성을 넘어
제6장 미국적 가치의 정체성 혼란, 필름 느와르 1941~1958
1. 미국적 가치의 정체성
2. 영화 검열과 미국적 가치의 정체성
3. 미국적 가치의 정체성 혼란, 필름 느와르
제7장 현실과 표현의 일체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1942-1955
1. 베리스모와 네오리얼리즘
2. 현실과 표현의 일체화
3. 서로 다른 현실
제8장 전통적 사회구조의 비판과 현대화의 변증법, 1950년대 일본 영화 1949-1962
1.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과 점령 정책
2. 전통적 사회구조의 비판과 현대화
3. 영화 제작 환경의 변화
4. 전통적 사회구조의 비판과 현대화와의 변증법, 1950년대 일본 영화
제9장 정치권력의 변화와 영화, 해빙기 시기의 소비에트 영화 1956-1966
1. 흐루쇼프의 제20차 전당대회
2. 사회주의리얼리즘의 미학적 법칙의 변화
3. 해빙기 시기의 소비에트 영화
제10장 영화, 미디어로서의 독립과 창작 이론과의 만남, 프랑스 누벨바그 1958-1967
1. 드골의 제5공화정과 미디어 환경
2. 텔레비전의 확산과 영화의 대중 미디어적 기능 변화
3. 누벨바그와 누벨바그 영화 이론의 토대
4. 영화, 미디어로서의 독립과 창작 이론과의 만남
제11장 영국 사회와 노동자계급에 대한 표면적 묘사, 영국 뉴웨이브 영화 1959-1963
1. 성난 젊은이들과 키친 싱크 리얼리즘
2. 프리 시네마와 뉴웨이브 영화
3. 영국 뉴웨이브 영화의 화두, 노동자계급과 사회
제12장 역사적 정체성 탐구와 파시즘에 대한 우려, 뉴 저먼 시네마 1962-1982
1. 서구 통합 정책과 기성세대 부정
2. 낡은 영화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제작 지원 제도 구축
3. 젊은 독일 영화와 새로운 독일 영화
4. 역사적 정체성 탐구와 파시즘에 대한 우려, 뉴 저먼 시네마
제13장 기성 사회에 대한 저항과 작가주의와 할리우드 상업주의와의 결합, 뉴할리우드 시네마 1967-1975
1. 미국의 젊은 세대들의 새로운 가치와 문화
2. 할리우드 영화의 새로운 변화
3. 뉴할리우드 시네마, 작가주의와 할리우드 상업주의의 결합
4. 새로운 할리우드 영화
제14장 진실 앞에 선 사회적 현실과 도덕적 불안, 폴란드의 도덕적 관심의 영화 1976-1981
1. 역사적 사건과 영화의 역할
2. 불안정한 공산주의 체제와 도덕적 관심의 영화
3. 역사 탐구와 사회적 현실 앞에 선 진실과 도덕적 인식
제15장 역사 속에서 새로운 창작의 혁신을 찾다, 1980년대 중국 영화의 혁신기 1984-1989
1. 1984~1989년 중국 영화에서 나타난 세대론적 시각의 오류
2. 문예 정책의 변화와 영화 언어에 대한 논의
3. 다층적 의미로의 확장과 전통적 미학 사상
제16장 극대화된 자본의 가치와 남북 분단에 대한 새로운 인식, 1998년에서 2007년까지의 한국 영화
1. 극대화된 자본의 가치와 남북 관계의 변화
2. 일상 속에 감춰진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
3. 남북 분단에 대한 새로운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