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면서
제1부 창조도시 이론
제1장 창조도시의 유래, 창조도시로 가는 길
1. 창조도시 어디서 유래했나?
2. 창조도시로 가는 길은?
제2장 창조성과 창조도시 이론
1. 창조성 논리의 유래
2. 창조도시란?
3. 창조도시를 바라보는 관점
4. 창조도시에 이르기까지
5. 누가 창조도시의 이론을 만들어 왔나?
제3장 창조도시가 갖추어야 할 요소
1. 창조도시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계급
2. 창조도시가 되려면 무엇을 갖추어야 하나?
제4장 창조도시의 학문적 고찰
1. 인간·사회자본이론에서 창조자본이론으로의 변천
2. 인간자본·창조계급·창조성·도시발전에 관련된 연구들
3. 도시경쟁력, 창조성, 창조계급, 지역성장 관련 변수·지표
4. 창조도시로서 중소도시, 압축도시, 유럽형 창조도시
제5장 창조성, 정체성 그리고 브랜드
1. 장소성 찾기 과정
2. 장소성 읽기
3. 창조도시의 조건
제6장 창조도시계획과정 및 전략·행동지침
1. 창조도시 목표와 대안간의 관계
2. 창조도시 계획과정
3. 창조도시 추진과정
4. 창조도시를 위한 행동지침
5.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6. 브랜드란 무엇인가?
7.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와 전략
8. 아름다운 길, 동네가 브랜드가 된 도시
제7장 창조산업·창조도시 네트워크
1. 창조산업이란 무엇인가?
2. 창조도시 네트워크와 우리 도시가 가야 할 길
제2부 사조들을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제1장 생태주의를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1. 생태주의에서 창조성 찾기
2. 생태주의의 유래
3. 지속가능성 패러다임 속의 생태주의 계획방식
4. 생태도시계획을 창조도시로 연계
5. 생태주의를 통한 창조도시 형성과정
제2장 문화를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1. 문화도시의 등장배경
2. 문화도시란 무엇인가?
3. 창조도시와 문화적측면의 관계
4. 문화를 통한 창조도시 형성과정
제3장 도시마케팅을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1. 장소성 및 장소자산
2. 장소마케팅이란 무엇인가?
3. 도시마케팅이란 무엇인가?
4. 도시마케팅을 통한 창조도시 형성과정
제4장 공공디자인을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1. 공공디자인이란?
2. 공공공간과 공공디자인
3. 공공성과 공공디자인
4. 예술사조와 도시건축·공공디자인
5. 공공디자인을 통한 창조도시 형성과정
제5장 복합용도개발을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1. 복합용도개발(Mixed Use Development)
2. 복합용도개발의 효과
3. 복합용도개발을 통한 창조도시 형성과정
제3부 창조도시의 외국 사례
제1장 창조도시의 유형별 요소·전략·효과
1. 창조도시 유형에 따른 창조요소·전략·효과
제2장 유럽의 창조도시 사례
1. 푸라이부르크(독일)
2. 엠셔파크(독일)
3. 더블린(아일랜드)
4. 에든버러(스코틀랜드)
5. 볼로냐(이탈리아)
6. 헬싱키(핀란드)
제3장 아시아의 창조도시 사례
1. 싱가포르
2. 요코하마(일본)
3. 가나자와(일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