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반도의 벼 전래에서 벼농사 역사와 재배기술 발전, 쌀의 유통 및 가공까지, 한국쌀연구회 소속 72명의 권위자가 집필한 ‘벼와 쌀’ 분야 종합연구서. 책의 구성은 전체를 9개 장으로 나누어 제1장은 “한반도의 벼 전래와 벼농사”, 제2장은 “벼농사의 중요성”, 제3장은 “벼농사 기술 발달사”, 제4장은 “벼 기관 형성과 발달”, 제5장은 “벼 생리?생태”, 제6장은 “벼 재배 기술”, 제7장은 “쌀 품질 및 이용”, 제8장은 “벼 유전 육종론”, 제9장은 “쌀 유통 및 가공”으로 하여 벼와 쌀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모두 다루었다.
목차
제1장 한반도 벼 전래와 벼농사 / 허문회
1.1 벼의 전래
1. 벼 재배 분포 지역
2. 아시아 벼 재배 기원
1.2 벼농사 정착 과정
1. 고고 발굴 도작 유물
2. 고대 기후와 뱃길
3. 한반도로의 벼농사 전파 경로
1.3 정리
제2장 벼농사의 중요성
2.1 한반도 벼 재배 풍토 / 박래경
1. 벼 재배 지대 구분 및 특성
2. 지형 및 토양 특성
3. 벼농사 기간 중 기후 특성
2.2 쌀 생산과 농가 경제 / 조수연
1. 논 이용 및 생산 기반의 변천
2. 간척 사업에 의한 농지조성 현황
3. 벼 재배 면적과 쌀 생산 추이
2.3 쌀의 중요성 / 김광호
1. 쌀의 영양적 가치
2. 쌀의 건강 증진 기능
3. 벼의 생태적 가치
4. 벼의 공익적 가치
5. 쌀의 이용 형태
제3장 벼농사 기술 발달사 / 최해춘
3.1 벼 육종기술
1. 변천 개요
2. 벼 육종 중점 방향 및 체계 변천
3. 벼 신품종 개발 및 보급 변천
4. 벼 육종연구 성과
3.2 쌀 생산기술 및 이용기술
1. 쌀 생산기술 발달의 개관
2. 병해충 경감 기술
3. 벼 재해 대책 및 생리 연구
4. 잡초 생리·생태 및 방제 기술체계
5. 벼 생리·생태 및 기초연구
6. 벼 수확 후 관리 및 가공 기술
제4장 벼 기관 형성과 발달
4.1 벼 종자 형태 및 발아 / 정남진
1. 벼 종자의 구조
2. 발아와 환경
4.2 모의 생장과 환경 / 양원하
1. 출엽 및 모 생장 과정
2. 모의 생장과 환경
4.3 잎의 형태와 생장 / 윤영환
1. 잎의 형태
2. 출엽과 생장
3. 잎의 기능
4. 잎의 생장과 환경
4.4 벼 줄기의 형태와 생장 / 박태식
1. 벼 줄기의 형태와 기능
2. 벼 줄기의 생장과 환경
4.5 분얼과 환경 / 이정일
1. 분얼의 분화와 발달
2. 분얼 발생과 환경
4.6 뿌리 형태와 생장 / 신진철
1. 뿌리 종류 및 구조
2. 벼 뿌리의 신장과 분포
3. 뿌리 생장과 환경조건
4.7 생육상 전환과 유수 분화 및 발달 / 안종국
1. 생육상의 전환
2. 이삭의 분화 발달
4.8 출수 개화 및 수정 / 이철원
1. 화기 구조와 개화 습성
2. 수분과 수정
4.9 벼 등숙과 환경 / 김상열
1. 종실 발달 과정
2. 이삭의 발달과 환경
제5장 벼의 생리·생태
5.1 벼 종자 수명과 발아 및 휴면 / 김한용
1. 벼 종자 수명
2. 벼 종자의 발아 생리
3. 휴면 생리
5.2 분얼과 영양 생장 / 박태식
1. 질소
2. 인
3. 칼리
4. 3요소를 제외한 필수원소와 벼의 분얼
5. 규소
6. 벼의 분얼과 미량원소
7. 벼의 영양장해
5.3 출수 생리·생태 / 임무상
1. 벼 출수기의 기상 생태
2. 벼 출수기의 지역 생태
5.4 등숙 생리·생태 / 신진철, 김제규
1. 등숙의 특징
2. 배의 발달과 저장물질의 축적
3. 배유의 발달과 저장 물질의 축적
4. 저장 물질의 축적과 세포 내 과립의 형성
5. 등숙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5.5 영양 및 수분생리 / 송범헌
1. 뿌리의 기능과 생리
2. 양분 흡수와 환경
3. 양분 흡수 대사
4. 수분 생리
5.6 광합성과 호흡 / 손양, 이석순
1. 잎의 광합성 및 호흡
2. 잎의 구조와 기능
3. 잎의 광합성 및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벼 군락의 광합성 및 호흡과 물질 생산
5. 벼 군락의 광합성 및 물질 생산에 미치는 요인
5.7 쌀 수량 형성과 다수성의 원리 / 이변우
1. 벼의 수량 구성 요소와 수량 성립 과정
2. 물질 생산 및 배분과 수량의 형성
3. 다수성 벼의 특성
5.8 기상재해 생리 / 이문희
1. 기상재해의 종류
2. 저온 장해 발생 요인과 기작
3. 고온장해 발생 요인과 기작
4. 풍해 발생 요인과 기작
5. 한해 발생 요인과 기작
6. 침·관수해 발생 기작
5.9 병충해 생리 / 손재근
1. 병해 발생 환경 및 내병성 기작
2. 충해 생리와 내충성 기작
5.10 생리장해 현상과 내성 기작
1. 적고 현상 / 이충근
2. 추락 현상 / 이충근
3. 도복 / 이충근
4. 염해 / 정남진
5. 농업 환경오염 / 김진호
6. 약해 증상 / 박병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