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서구의 시각으로 보고 이해해왔던 중국을 이책을 통해 역사적 전통이라는 맥락에서 중국 정치체제의 과거와 내일을 조망해보고, 상업주의 국가로서의 중국의 전통과 성격을 분석하며, 세계적 범주에서 중국 패권의 가능성을 논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1장 중국은 '새로운 제국 체제'이다 1. 역사 전통에 기반을 둔 중국 특색의 정치체제에 대한 전망 1) 왕조흥망 주기율로 본 중국의 전통적 정치체제 2) 중국 사회주의 혁명과정에서의 중국적 특색 3) 현대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중국 정치체제에 대한 전망 2. 현대 중국의 정치 구도 1) 상식 뒤집기: 중국 정치 시스템이 보여주는 몇 가지 장점 2) 태자당과 상해방 대 공청단파 3. 중국의 정책지식 생산자와 소비자 관계의 다원화 현상 1) 변화하는 중국 사회와 정책지식 생태계 2) 중국 정책지식 생산자의 다원화 경향성 3) 합리성을 제고시켜가고 있는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 4) 중국 정부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세력들 5) 중국에서의 정책지식 생산자의 존재 형태 사례 4. 유가사상과 중국 방식의 법치 전통 1) 유가사상의 비법치주의 경향 2) 유가 법률사상의 핵심 3) 유교적 질서체계의 확립 - 동중서의 통치사상 4) 유가와 법가 그리고 서양 법사상의 분기점 5) 영원한 숙제로서의 법치주의
2장 중국은 상업 국가이다 1. '상경'으로서의 '화식열전' 1) '현인'이 된 상인 2) 가장 나쁜 정책은 백성과 이익을 다투는 것이다 3) 서민들이 부자에 이르는 길 2. 중국의 상업적 전통 1) 대표적인 상방 2) 현대 중국의 번영을 이끄는 화교자본 3. 중국의 개혁개방 30년 1) 기층 농민으로부터 시작된 개혁개방 2)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 3) 중국 개혁개방의 설계자 등소평 4) 중국 경제개발의 전형적 방식의 추진자 보시라이 5) 소림사의 상업화로 보는 중국 6) 대삼통을 실현시킨 상업주의 정신
3장 세계의 '중앙 왕국'을 지향하는 중국 1. 중국 대국외교의 전개와 그 '제한성' 1) 중국 대국외교의 개념 2) '9.11 테러사건' 이후 외현된 중국 대국외교 3) 중국 대국외교의 '제한성' 2. 중국과 미국, 두 영웅은 나란히 설 수 없다 1) 지구의 미래 통치자를 결정하는 대결 2) 중국과 미국의 '가치의 충돌' 3. 주변 경쟁국과의 갈등 1) 중국과 일본, 동아시아의 맹주 지위를 노리는 양웅 2) 중국과 인도: 차세대 패권을 노리는 대결 4. 내연하는 중국 1) 티베트 문제의 전망 2) 위구르 - 심화되는 균열, 확대되는 원심력 3) 대만, 중국이 세계 패권국으로 가는 시금석 4장 한국에게 중국은 무엇인가? 1. 동북아 한중일 3국의 해양 전쟁 2. '동북공정'에 대한 효율적 대응을 위하여 3. 중국의 이른바 반한감정, 어떻게 볼 것인가? 4. 역사적 경험으로 유연한 공존 방안을 모색하라 5. 대중국 정책의 방향
에필로그 색인
서가브라우징
진시황을 겁쟁이로 만든 단 한 사람 : 《사기열전》 단단히 읽기2018 / 원저: 사마천 ; 지음: 이양호 / 평사리
송나라의 슬픔: 근대의 문턱에서 좌절한 중국 문명을 반성하다2021 / 지음: 샤오젠성; 옮김: 조경희; 임소연 / 글항아리
송나라의 슬픔: 근대의 문턱에서 좌절한 중국 문명을 반성하다2021 / 지음: 샤오젠성; 옮김: 조경희; 임소연 / 글항아리
중국사 열전 황제 : 帝2008 / 샹관핑 지음 ; 차효진 옮김 / 달과소
중국사 열전 후비 : 后妃2008 / 샹관핑 지음 ; 한정민 옮김 / 달과소
허난, 우리는 요괴가 아니다2009 / 서명수 지음 / 김&정
세상에서 가장 큰 중국책 : China: 풍경, 역사, 인간, 문화, 건축2008 / 민안치, 크리스토퍼 필리츠, 로널드 냅, 피터 네빌-해들리, 앨리슨 베일리, J.A.G. 로버츠, 낸시 S. 스타인하르트 지음 ; 최경화 옮김 / 디자인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