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하고 학계 각 분야의 권위자 17명이 집필한 한국사 교양서로, '전문가들이 쓴 가장 믿을 만한 한국사', '건강한 역사관을 가진 균형 잡힌 한국사',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사', '스토리와 비주얼로 읽는 입체적인 한국사'를 표방한다. 1권에서는 원시시대부터 남북국시대까지 우리 역사의 여명과 발전기를 추적해간다.
목차
추천사
발간사
서문
1 원시시대와 국가의 형성 70만 년 전·기원전 2세기
01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 구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구석기와 신석기시대의 징검다리 : '중석기시대' 논쟁
02 토기를 발명하고 한곳에 머물러 살다 : 신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필요가 낳은 발명품, 토기 : 토기의 발명과 지역성
03 동북아시아에 싹트는 새로운 문명 : 청동기 문화에서 철기 문화로
농경무늬 청동기에 담긴 메시지 : 청동기시대의 농경의례
04 우리 역사에 등장한 첫 나라 : 고조선의 형성과 발전
단군릉과 단군신화 : 신화와 역사 사이에서
05 한국 고대사회와 낙랑군 : 낙랑군의 역사적 성격
한사군, 식민지인가 우리 역사인가? : 한사군의 역사적 성격
2 여러 나라의 성장 기원전 2세기·3세기
01 고조선의 뒤를 이어 일어난 나라들 : 부여와 삼한
『삼국지』속「동이전」의 세계 :「동이전」에 나타난 3세기 만주와 한반도의 생활상
02 정복 전쟁으로 성장한 고구려 :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고대국가의 '부체제' : 부체제의 성립과 변천
03 온조와 비류가 세운 백제 : 백제의 성립과 발전
백제, 요서로 진출하다 : 중국의 혼란을 틈탄 백제의 해외 경략
04 한반도 동남부의 모퉁이에서 일어난 신라 : 신라의 성립과 발전
『삼국사기』초기 기록의 신빙성 문제 : 과연 날조된 것인가, 그냥 믿어도 되는 것인가?
05 낙동강을 끼고 일어난 가야 : 가야 연맹체의 성립과 발전
고대사회의 혼인과 장례 :『삼국지』를 통해 본 고대인의 습속
3 삼국시대의 전개 4세기·7세기 전반
01 한반도의 대외 교역망을 서로 다투다 : 4세기 동북아시아 국제 징세와 삼국의 정립
임나일본부, 더 이상 사용 금지! : '임나일본부설' 논쟁
02 동북아시아의 패자, 고구려 : 고구려의 천하관
광개토왕비를 둘러싼 한·일 역사 전쟁 : '신묘년조' 기사 논쟁
03 백제의 부흥과 신라의 팽창 : 백제와 신라의 동맹
『화랑세기』, 고대사의 타임머신인가? :『화랑세기』진위 논쟁
백제 무왕과 신라 선화공주의 결혼은 사실일까? : 미륵사지 석탑 속에 숨겨진「서동요」의 진실
04 고구려의 수·당 전쟁과 삼국 통일 : 7세기 국제 정세의 변동과 전쟁
중국 '동북공정'의 실체는? : '동북공정'을 둘러싼 한·중 역사 논쟁
4 남북국시대 7세기 후반·9세기
01 나당전쟁과 발해의 성립 : 7세기 후반 동아시아 세계
통일신라시대인가, 남국시대인가? : '남북국시대' 논쟁
02 신라 중대 왕권의 빛과 그림자 : 전제 왕권과 신라의 천하관
신라 사람들, 불국토을 꿈꾸다 : 고대 도성의 경관과 신라의 성전사원
목간으로 본 신라 궁중의 일상 : 신라인의 문자 생활
03 발해, 부활을 노래하다 : 해동성국 발해
모든 길은 발해로! : 발해 5도와 특산물
04 무너지는 천 년 왕국, 신라 : 고대 세계의 종말
동아시아 네트워크를 장악하다 : 해상왕 장보고
5 고대의 사회와 문화 70만 년 전·9세기
01 신분에 따라 삶도 달라지다 : 고대사회의 신분제
고대사회의 황금과 부자 : 온달과 서동 설화
02 고대 사람들도 세금을 냈을까 : 고대사회의 생산과 경제
동아시아 문명의 기준을 세우다 : 고구려척
03 고대 사람들은 무엇을 바랐을까 : 고대사회의 사상과 종교
한 시대를 살아간 두 고승 : 원효와 의상
04 고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고대사회의 생활과 문화
고분벽화로 보는 고대인의 삶과 죽음 : 고대사회의 무덤 양식
연표
찾아보기
이미지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