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하고 학계 각 분야의 권위자 17명이 집필한 한국사 교양서로, '전문가들이 쓴 가장 믿을 만한 한국사', '건강한 역사관을 가진 균형 잡힌 한국사',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사', '스토리와 비주얼로 읽는 입체적인 한국사'를 표방한다. 3권에서는 명과 청이 주도하던 동아시아에서 장구한 역사를 써내려간 조선의 탄생과 성장, 소멸을 들여다본다.
목차
추천사
발간사
서문
1 조선왕조의 성립과 체제 정비 1392·1494
01 혼돈의 동아시아, 새로운 사람들이 모이다 : 조선왕조의 개창과 통치 체제
조선의 계획도시, 한양 : 한양 정도의 정치적 배경
왕의 진짜 이름은? : 왕의 호칭, 왕실의 호칭
02 농사짓는 백성의 근심이 없게 하라 : 수취제도와 농민의 삶
세종이 도량형을 통일한 까닭 : 도량형과 생활
03 농사짓기는 나라의 근본이라 : 농업 발달과 장시의 등장
무명옷이 바꾼 백성들의 삶 : 면화와 의생활
조선의 농사 기술사 : 노동과『농사직설』
04 백성들의 삶을 이롭게 할 조선의 과학 : 세종 대 과학 기술의 발달
중국의 조선, 그리고 세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 양반 사회의 성장 1494·1567
01 하늘이 낳은 백성 중 양반이 으뜸이라 : 신분제의 변화와 양반
양반 신분의 보증서 : 족보의 편찬
02 향촌 사회를 다스리는 절대 권력 : 사족 지배 질서의 형성
형벌로 본 조선사회 : 조선의 형법
03 사림, 권력의 중심으로 나서다 : 조선 중기의 정치 변화
조선의 관리로 사는 법 : 관리의 선발과 생활
04 조선을 움직이는 원리 : 조선 성리학의 발달
심성 논쟁의 배경과 라이벌 : 조선의 사상 논쟁
3 흔들리는 사대교린의 외교 관계 1567·1649
0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 : 대외 관계와 전쟁
조선의 첨단 무기 : 화약과 총통
02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리다 : 임진왜란과 그 영향
물 건너와 입맛을 바꿔버린 물건 : 담배와 고추
03 급변하는 중국 대륙의 틈바구니에서 : 호란과 그 영향
소현세자는 무엇을 보았는가 : 소현세자의 인질 생활
04 이웃과 새로운 관계를 맺다 : 연행사와 통신사
생활 중국어와 속성 일본어 : 역관과 외국어 학습
4 정치 변동과 경제의 성장 1649·1800
01 조선왕조의 신하들, 붕당을 만들다 : 붕당정치의 시대
왕을 낳은 후궁들 : 7궁과 조선 후기 왕실 계보
02 세금 제도가 바뀌어도 힘든 살림살이 : 수취 체제의 변화
성씨가 없는 사람, 이름이 없는 사람 : 호적 속의 노비
03 농업 기술의 발달, 부농과 빈농을 가르다 : 조선 후기 농업과 지주제의 변화
충청도 양반가의 의생활과 식생활 :「정훈」을 통해 본 양반 지주의 경제생활
04 커져가는 한성부, 발전하는 상업 : 조선 후기 장시의 발달
광산업에 뛰어든 민간 자본 : 광산과 광업
05 절정에 이른 조선의 문화 : 18세기 문화 발달
풍속화에 담긴 조선의 정신과 기품 : 김홍도와 신윤복
5 양반 사회의 동요와 민중의 성장 1800·1863
01 세도정치와 뒤숭숭한 동아시아 정세 : 19세기 정치제도
부패한 관리를 벌주는 백성들의 해결사 : 암행어사
02 성리학의 흐름과 실학의 성장 : 실학, 북학, 동학, 서학
'학생부군신위'의 진실 : 유학과 학생
03 신분제가 흔들린다, 지방이 동요한다 : 19세기 지방 사회
딸이 아닌 아들에게 재산을 상속한 이유 : 양반의 재산 상속
04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다 : 민중의 저항 운동
농민항쟁의 지도자들 : 전국의 농민 항쟁
연표
찾아보기
이미지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