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한문학을 전공하고, 조선후기 한문 산문의 양상을 조명하는 데 주력해왔으며, 옛 문인들의 뜻과 정이 담긴 글들을 찾아 소개하고 있는 강혜선 성신여대 국문과 교수의 책. 여기에 수록된 강혜선 교수의 글들은 강 교수가 그의 방식대로 고인(古人)을 찾아내서 그 삶을 경청하고, 그 고인을 마음의 벗으로 삼으면서 소통한 과거와 현재의 대화록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나를 그리는 사람
이 늙은이가 사는 법 - 미수 허목
나를 그리는 사람 - 표암 강세황
허(虛)를 기르는 사람 - 양허당 김재행
우언에 담은 나의 인생 - 이이엄 장혼
천 길 벼랑을 진 삶 - 백헌 이경석
제2부 사랑하는 나의 집
시계와 거문고가 있는 집 - 애오려의 담헌 홍대용
개성과 연암협의 생활 - 연암 박지원
천리를 따르는 집 - 순암 안정복
인왕산에 그린 집 - 이이엄 장혼
과실과 채소를 읊는 집 - 삼청동 만선와의 김려
제3부 필묵 사이에 넘치는 정
딸의 삶을 적은 아버지 - 농암 김창협
형제와 함께 나누는 여행 - 농암 김창협
편지 쓰는 사람 - 서암 신정하
유배지에서 보내는 아버지의 편지 - 다산 정약용
지기의 삶을 전하는 문인 - 소남 심능숙
제4부 국화 그림자의 운치
유배지에서 피어난 사랑 - 부령에서의 김려
어보(魚譜)를 쓰는 유배객 - 진해에서의 김려
국화를 좋아한 문인들 - 다산 정약용과 소남 심능숙
쫓겨난 부인을 남편에게 돌려보낸 시인 - 소남 심능숙
일본 여행기를 남긴 사람 - 청천 신유한
미주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