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춤의 전통과 정신은 살아있는가
제1장 전통담론과 공연문화유산
전통담론과 전통춤의 현대적 계승
1. 머리말
2. 전통담론과 전통춤
3. 전통춤의 현대적 수용양상
4. 전통춤의 현대적 수용을 위한 몇 가지 생각
5. 맺음말
무형문화재의 춤의 ‘원형’ 과 보존계승 방안
1. 머리말
2. 무형문화재 제도와 춤분야 지정현황
3. 무형문화재에서의 원형의 실체
4. 춤전승 현장에서의 원형인식
5. 원형의 기록화와 보존방안
6. 맺음말
한국춤문화 유산과 공연예술자료관의 미래상未來像
1. 머리말
2. 한국 춤문화유산의 가치
3. 한국공연예술자료관의미래상未來像
4. 맺음말-필요성 재인식
세계 최고最古, 최대最大의 연극전문박물관
1. 머리말
2. 설립배경
3. 구조와 배치
4. 자료수집 및 소장자료 현황
5. 기능과 역할
6. 맺음말
춤자료관의 설립과 운영방안 모색
1. 머리말
2. 춤자료관 연낙재 문을 열다
3. 향후 운영계획과 과제
4. 국립극장 춤자료관 운영방안 모색
5. 맺음말
『교방가요敎坊歌謠』소장배경과 그 의의
1. 『교방가요敎坊歌謠』는 어떤 문헌인가
2. 『교방가요』의 공연예술사적 가치
제2장 춤의 명인, 춤의 거장
문文과 예藝, 교敎와의 통섭
1. 들어가며
2. 박외선의 생애와 예술활동
3. 작품세계 : 시적 감수성의 현현
4. 박외선 : 문文과 예藝, 교敎와의 통속
5. 나오며 : 춤선구자 박외선
영남 현대춤의 선구자, 김상규金相圭
1. 김상규金相圭, 예술가적 초상
2. 춤인식론 및 안무세계
3. 김상규의 존재론적 의의
4. 그가 남긴 것
공중정재의 독보적 존재, 이흥구
1. 왜 독보적인가
2. 어린시절, 서울에 상경하다
3. 국악사양성소 시절
4. 군입대와 결혼
5. 학연화대무로 인간문화재 반열에 오르다
6. 정재 연구와 저술작업
7. 삶의 철학 및 정재계보
한국춤 동작의 이론적 체계화 모색
1. 방랑과 불운의 춤인생
2. 주요 작품경향
3. 한국춤 기본동작의 이론적 체계화
4. 춤동작의 이론적 체계화의 의의
5. 무용사적 업적을 되새기며
제3장 전통의 창조성과 춤정신
‘세계인’을 표방한 춤의 거인巨人, 조택원
1. ‘모던보이’ 조택원
2. 춤에 입문하다
3. 세계무대를 활보하다
4. 근대 지적 엘리트의 표상
5. 춤의 선구자, 조택원
신무용의 거장, 조택원 부활하다
1. 학술세미나
2. 특별기획전
3, 영화감상회
4. 축하연
5. 복원공연
6. 구서울역사 공연
복원 재현되는 조택원의 신무용 명작들
기억의 저장고
춤의 선구자 조택원의 예술혼을 찾아서
『춤』지 30년이 무용계에 준 귀한 선물
무용계에 의미있는 춤문화운동이 있어야
조택원, 그의 춤정신을 생각한다
제4장 춤의 전통보존과 계승
춤계의 뜻있는 문화행사들
전통춤의 올바른 전승은 보유자ㆍ학계ㆍ국가기관의 책무
무형문화재 제도가 오늘날에도 과연 필요한가
제대로 보존돼야 할 한영숙의 춤
연변에서 실감한 한국춤 기본동작체계의 필요성
제5장 전통춤의 학적 담론
고대 중국무용사 연구의 필독서
역대 국립음악기관의 실체를 조망한 연구서
처용무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는 개설서
한국 전통춤사위 습득을 위한 길잡이
20세기 현대무용 이론에 대한 아카데믹한 정리
한국 최초의 무용임명사전 발간의 의의
춤인생 60년의화려한 여정
기록의 부재성 제고하는 모범적 선례
인문적 사유와 감각적 글쓰기
최승희 연구를 위한 귀중한 필독서
최승희를 통해 그대 신여성의 표상을 읽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