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전작 <위험사회>에서 울리히 벡은 우리에게 "궁핍은 계급적이지만 스모그는 민주적이다"라는 유명한 경구를 남김으로써, 이미 현대적 리스크의 글로벌 성격을 강조한 바 있다. 그렇다면 2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어디에 와 있으며, '위험사회' 담론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 것일까.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 서문
제1장 서론: 글로벌 리스크 연출
1. 리스크
2. 위험사회
3. 글로벌 위험사회
4. 이 책의 논증건축과 구성
제2장 개념 정의관계는 지배관계이다: 누가 무엇이 리스크인지 결정하는가
1. 리스크는 시간을 초월하는가
2. 리스크 계산: 열린 미래 앞에서 예측할 수 있는 안전
3. 리스크와 위험: 조직적인 무책임성
4. 지배관계로서의 개념 정의관계: 누가 무엇이 리스크인지 결정하는가
5. 위험사회에서 기술과 자연과학의 역할
6. 사회의 생태학적 갈등
7. 테러 리스크는 국제정치의 토대를 바꾼다
8. 정치적 성찰성: 위험의 대항권력과 사회운동의 기회
제3장 글로벌 위험사회의 '세계주의적 계기' 또는 강요된 계몽
1. 과거의 위험들―새 리스크: 글로벌 위험사회에서 새로운 것은 무엇인가
2. 글로벌 위험사회의 '세계주의적 계기' 또는 역사의 간계
제4장 리스크 문화의 충돌 또는 정상 상태와 비상사태의 중첩
1. 세계주의적 사건 또는 9·11의 '상징 코드'
2. 신 또는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믿음: 리스크 문화의 충돌
3. 위험사회는 정상 상태와 비상사태가 서로 중첩되는 (잠재적) 혁명사회이다
4. 글로벌 리스크는 권위주의적인 '실패국가'를 생산한다―서구에서도
제5장 세계여론과 글로벌 하위 정치 또는 기후재앙은 얼마나 현실적인가
1. 생태학적 글로벌 위험사회 이론의 연관성
2. 글로벌 하위 정치의 징후와 발생조건, 표현 형태
제6장 예방국가 또는 직선적 진보비관주의의 진부성에 관해
1. 직선적 기술 관료제의 종말?
2. 직선적 진보비관주의의 진부함
제7장 지식 또는 무지: '성찰적 현대화'의 두 관점
1. 출발점
2. '성찰적 현대화' 관점
제8장 보험원칙: 비판과 반(反)비판
1. 무지와 드라마, 사회학
2. 보험원칙: 비판점
3. 반대 질문과 반비판
제9장 체감 전쟁, 체감 평화: 폭력 연출
1. 리스크 대립 근거는 이미 그 논리에 들어 있다
2. 리스크 전쟁 또는 글로벌 위험사회에서의 조직적 폭력 연출
3. 테러 리스크: 체감 전쟁의 글로벌 연출
제10장 글로벌 불평등과 지역적 취약성: 생태학적 위험의 갈등역학은 방법론적 세계주의의 틀 안에서만 이해되고 연구될 수 있다
제11장 글로벌 위험사회의 비판이론
1. 글로벌 위험사회의 규범적 지평: 규범적 세계주의와 서술적 세계주의
2. 비판적 의도의 사회이론의 현실 과학적 토대
3. 정치적 시각: 세계주의적 현실 정치
제12장 현대의 변증법: 현대의 위기가 어떻게 현대의 승리에서 출현하는가
1. 현대의 기본 원칙과 기본 제도의 구별
2. 반현대의 변증법들
3. 딜레마
해제: '글로벌 리스크'는 우리를 계몽할 수 있는가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