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1장 다문화사회란 무엇인가?
1. 다문화사회의 이해
다문화사회란
다문화사회의 도입과정에 대한 논의
2. 우리에게 새로 생긴 이웃들
외국인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탈북자
외국인유학생
다문화사회 관련용어
2장 다문화사회, 어떻게 열어갈 것인가?
1. 다문화사회, 우리의 자화상
엄마, 왜 내가 다문화야
다문화인식 개선교육, 왜 필요한가
2.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전망
다문화정책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외국인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전문적인 맞춤서비스로 다문화가족을 지원해야 한다
누구를 위한 다문화사회인가
소수자 우대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이 ‘다문화가족전문가’로 최적임자
결혼이주여성, 장학지원 절실하다
한국에는 ‘비빔밥 문화’가 있다
3. 다문화이론과 외국의 다문화정책
미국의 다문화사회 이론
미국의 인권|민권운동과 다문화정책
캐나다의 다문화정책
한국인 광부와 간호사를 받아들인 독일의 다문화정책
일본과 대만의 다문화정책
다양한 얼굴·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말레이시아
3장 다문화사회에서 좋은 이웃으로 사는 법
1. 다문화사회의 십계명
다문화사회 좋은 이웃 십계명
외국인이 아닌 ‘더불어 사는 좋은 이웃으로’
다문화관련법률
2. 좋은 이웃이 되는 15가지 방법
1. 다문화, 생각부터 바꾸자
2. 호의적 무관심으로 대하기
3. 이웃사촌 한가족 맺기
4. 자원봉사로 이주민에게 도움의 손길을
5. 다문화가족의 ‘멘토’가 되자
6. 다문화가정 2세들에 대한 배려를
7. 좋은 이웃이 되려면 우선 자주 만나야 한다
8. 기본적인 생활에 도움을, 수다 친구가 되자
9. 다문화가족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자
10. 도움서비스 연계가 체계화되어야 한다
11. 공평한 사회복지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혜택부여하자
12. 다문화가정 가족 구성원의 교육이 절실하다
13. 지자체별로 ‘다문화의 날’을 제정한다
14. 함께하는 다문화사회, 이렇게 대화해요!
15.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 한국어교육 및 아동양육지원 서비스
3. 다문화공동체를 위한 의미있는 노력들
이주노동자 심방사역의 기적
이주노동자의 ‘오아시스’
이여인터와 인권
이주여성의 수호천사
이주여성들을 위한 ‘생명의 전화’
다문화시대의 언어문화봉사단 bbb
이주민을 위한 정보방송
이주민 음악치료방송
다문화가족 IT 박물관 ‘다누리’
국경없는 마을
안산 외국인주민센터
4. 다문화사회를 위한 정부의 노력
결혼이주여성의 안식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소통의 장 넓힌다
다문화감성지수 높이기 캠페인
따뜻한 다문화사회 만들기 Rainbow+Korea 프로그램
다문화사회 이해 전문강사 양성교육
4장 다문화사회, 더 생각해 볼 과제들
1.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다양한 문제들
결혼이주여성의 그랑프리상
부부싸움 통역봉사활동
다문화시대의 다문화군병력
다문화시대의 외교관
후안 마이 신부의 편지
제3세계 슈바이처의 국내교육
다문화가족의 바이블
다문화대안학교가 필요하다
제1호 결혼이주여성 정치인 탄생의 의미
또 하나의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주민번호 해프닝
2. 다문화사회를 위한 문화적 차이 극복
결혼이주여성과 ‘도깨비 상자’
결혼이주여성이 본 ‘한국의 고품격 언어’
“밀가루 음식이나 빵은 먹지 마라!”
“한국에 시집 잘 왔지. 잘 왔어!”
재혼여성이 더 좋아!
“엄마, 학교에 오지 마!”
러브인 아시아
대통령의 ‘다문화사회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