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프랑스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베르그손의 철학을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내고 있다. 프로이트 식의 부정적인 ‘무의식’ 개념이 아닌 창조적 생성의 조건으로서의 ‘무의식’ 개념을 통해 창조와 긍정이라는 베르그손 철학의 핵심 사유를 분명히 하고 있으며, 또한 사르트르, 하이데거, 들뢰즈, 바디우 등 현대 철학자들의 논쟁들 속에서 베르그손의 사유를 고찰함으로 그 현대적 의의를 명료하게 보여 준다.
목차
머리말
1장_잠재적 무의식, 경험의 실재적 조건 1. 실증적 형이상학의 이념과 직관의 방법 2. 무의식의 발견 : 경험의 전환점을 넘어서
2장_순수 지각과 물질 1. 관념론과 실재론 사이 : 이미지들의 총체로서의 물질 2. 신체의 역할 3. 순수 지각의 출현 : 현존에서 표상으로 4. 이미지들의 객관적 실재성 5. 지각된 물질의 평면과 기억의 원뿔
3장_순수 기억과 존재론적 무의식의 발견 1. 순수 기억과 심리-생리학적 무의식 2. 순수 기억과 존재론적 무의식 3. 순수 기억의 구조:원뿔 도식 4. 순수 기억의 심리학적 현실화 5. 수축 기억과 의식의 수준
4장_순수 과거와 존재론적 지속:무의식과 시간 1. 질적 다양체로서의 지속 2. 순수 과거의 선재성과 시간의 역설들 3. 순수 과거의 초월론적 종합
5장_순수 생명의 잠재성과 배아적 무의식 1. 물질의 반복 2. 정신의 반복 3. 생명의 창조적 진화 4. 생성의 논리와 인과 논리 5. 잠재적인 것과 가능한 것 6. 인간의 조건과 초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