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그동안 활발하게 전개되어온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사회학, 철학, 문학이론과 문학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총결산한 책이다. 저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둘러싼 다종다양한 논리와 시각을 하나하나 추적하면서도 전체에 대한 조망을 잃지 않고 전체를 관통하는 문화적 지류에 대한 인식으로 시종일관 독자를 이끌어간다.
목차
제1판 서문
제2판 서문
제1장 근대,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 규정을 위한 시론
1. 구성의 문제: 시대, 이데올로기, 양식, 문제상황으로서의 근대와 포스트모더니즘
2. 개념 만들기: 근세, 근대,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이스투아르, 후기산업사회
3. 문제상황으로서의 근대,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제2장 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근대와 포스트모더니즘
1. 근대의 비판들: 보편주의, 특수주의, 사회 운동
2. 페미니즘과 생태주의 페미니즘의 비판들
3. 보수적 포스트모더니즘?
4.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찬반 논쟁
5. 다원주의, 무차별성, 이데올로기
6. 보드리야르의 경우: 이데올로기 없는 무차별성
제3장 근대 비판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철학
1. 니체의 유산
2. 후근대적 사회철학과 메타이야기의 종언: 푸코, 들뢰즈, 료타르에서 바티모, 로티까지
3.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이론 Ⅰ: 푸코, 들뢰즈, 바티모, 로티
4. 인식이론 Ⅱ: 언어, 개념, 특수성-들뢰즈와 데리다에서 바티모로
5. 인식이론 Ⅲ: 료타르 대 하버마스
6. 윤리학: 료타르와 바우만에서 로티로
7. 미학: 헤테로토피아와 숭고, 알레고리와 아포리아
제4장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예학적 논쟁
1. 구성의 시도들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상황: 애매성, 양가성, 무차별성
3. 아방가르드, 대중문화, 포스트모더니즘의 '탈분화'
4. 후구조주의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반복 가능성, 아포리아, 간텍스트성
제5장 모더니즘 문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으로: 양가성 무차별성, 이데올로기
1. 모더지즘 문학과 양가성: 니체와 프로이트 사이에서
2. 양가성의 언어적 측면
3. 진리, 체계, 주체에 대한 비판: 근대 비판
4. 모더니즘과 비판이론: 에필로그Ⅰ
5. 포스트모더니즘 문학과 무차별성: 형이상학 비판
6. 무차별성의 언어적 측면: 또는 유리알 유희
7. 진리와 주체의 저편: 다원주의, 특수주의, 무차별성, 이데올로기
8.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해체주의, 실용주의: 에필로그Ⅱ
제6장 대화적 이론: 보편주의와 특수주의 사이에서
1. 이데올로기와 무차별성 사이에서의 이론 또는 '앙가주망과 거리두기'
2. 이론적 대화: 언어, 사회집단어, 담론
3. 결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특수성과 일반성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