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의 저자 이태호의 책. 조선 후기에 독자적인 회화 양식으로 자리 잡았던 진경산수화를 다룬 예술역사서로, 저자가 1980년대부터 30년 동안 금강산부터 남도까지 직접 발로 찾아다니며 조선 후기 산수화와 실제 풍경을 비교하고 연구한 기록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머리에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아름다움 - 도원桃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Ⅰ. 진경산수화론 1. 보고 그리기와 기억으로 그리기 - 진경산수화의 시방식과 화각 시작하며 실경을 닮게 혹은 닮지 않게 기억에 의존해 그린 화가 실경 현장에서 그린 화가 마치며 2.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 한국 산수화의 모태 시작하며 민족예술을 풍요롭게 한 절경이자 영상 금강산 형상 표현은 문학보다 그림이 낫다 닮은 것과 닮지 않은 것, 정선의 금강산 그림 진경산수화의 확산: 정선 일파와 문인화가의 금강산 그림 현장사생의 맛을 살린 김홍도의 금강산 그림 마치며 3. 20세기의 금강산 그림 - 현장에서 그린 사생화와 기억으로 담은 追想畵 시작하며 금강산의 관광지 개발과 대중화 20세기 전반의 금강산 사생화 20세기 후반 금강산 추상화 마치며 4. 고지도의 회화성 - 대지를 그리는 또 하나의 시각 시작하며 지도와 회화 축척지도에 표현된 경물도형의 회화성 조선 후기 그림지도의 유형과 화풍 마치며 Ⅱ. 우리 땅을 그린 화가들 5. 겸재 정선 - 조선 진경산수화의 완성자 〈박연폭도〉 정선의 실경 표현방식 시작하며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두 가지 유형 정선의 세 가지 실경 표현방식 박연폭이 창출한 시와 음악과 회화 〈박연폭도〉의 표현방식 마치며 〈쌍도정도〉 양필법과 연록담채로 풀어낸 초기 진경화풍 시작하며 정선의 사십대 행적과 작품 제작 시기 쌍도정의 위치와 〈쌍도정도〉의 화풍 실경사생법의 전통과 정선 화풍의 형성 마치며 6. 진재 김윤겸 - 겸재 일파의 선도작가 시작하며 김윤겸의 가계와 행적 김윤겸의 진경 작품세계 마치며 7. 지우재 정수영 - 지도학 집안이 배출한 개성적 사생화가 시작하며 정수영의 가계와 생몰연대 정수영의 진경 작품세계 마치며 8. 단원 김홍도 - 정선과 쌍벽을 이룬 진경 화가 김홍도의 진경산수 - 사실적으로 그린 명승과 일상풍경 시작하며 김홍도의 활동과 회화 경향 진경산수 사경산수 마치며 김홍도 화풍의 여운 - 이풍익의 《동유첩》에 실린 금강산 그림들 시작하며 《동유첩》의 탄생 배경과 여정 《동유첩》에 실린 작품들과 기행시문의 감명 마치며 9. 설탄 한시각 - 진경산수의 선례 17세기 함경도 실경 그림들 시작하며 한시각의 집안과 활동 《북새선은도권》의 과거시험 행사도 《북관수창록》의 실경도 마치며 10. 동회 신익성 - 인조 시절의 사생론과 실경화 〈백운루도〉 시작하며 17세기 문예사에서 신익성의 위치 서화 취미와 사생론 《백운루첩》의 〈백운루도〉 마치며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Ⅵ, 학,참새,기러기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Ⅵ, 학,참새,기러기 2011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Ⅵ, 학,참새,기러기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Ⅵ, 학,참새,기러기 2011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Ⅶ, 벌,나비,잠자리 등 곤충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Ⅶ, 벌,나비,잠자리 등 곤충 2011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Ⅶ, 벌,나비,잠자리 등 곤충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Ⅶ, 벌,나비,잠자리 등 곤충 2011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Ⅷ, 과일,열매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Ⅷ, 과일,열매 2011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Ⅷ, 과일,열매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Ⅷ, 과일,열매 2011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금강산을 그리다 : 옛 화가들의 발길 따라 금강산을 그리다 : 옛 화가들의 발길 따라 2023 / [공]지음: 이태호, 이영수 / 마로니에북스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2010 / 이태호 지음 / 생각의나무
산수화가 만든 세계 산수화가 만든 세계 2022 / 지음: 조규희 / 서해문집
겸재의 한양진경, 북악에 올라 청계천 오간수문 바라보니 겸재의 한양진경, 북악에 올라 청계천 오간수문 바라보니 2004 / 최완수 지음 / 동아일보사
겸재의 한양진경, 북악에 올라 청계천 오간수문 바라보니 겸재의 한양진경, 북악에 올라 청계천 오간수문 바라보니 2004 / 최완수 지음 / 동아일보사
쉼 나에게 주는 시간  : 풍경그림책  쉼 나에게 주는 시간 : 풍경그림책 2023 / 지음: 최준식 / 일러스트
쉼 나에게 주는 시간  : 풍경그림책  쉼 나에게 주는 시간 : 풍경그림책 2023 / 지음: 최준식 / 일러스트
하성흡 = Ha, Sung-Heub 하성흡 = Ha, Sung-Heub 2019 / 지음: 하성흡 / Hexagon(헥사곤)
조선의 묵죽 조선의 묵죽 2007 / 백인산 저 / 대원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윤운중의 유럽미술관 순례 : 루브르를 천 번 가본 남자. 2 윤운중의 유럽미술관 순례 : 루브르를 천 번 가본 남자. 2 2013 / 윤운중 지음 ; , / 모요사
해안누리길  : 이야기 따라 걷는 길 해안누리길 : 이야기 따라 걷는 길 2015 / 해양수산부 ; 해양문화재단 [편] / 해양수산부
공부가 되는 세계 명화 공부가 되는 세계 명화 2010 / 글공작소 지음 / 아름다운 사람들
아주 사적인 고백과 거짓말: 이지영 소설 아주 사적인 고백과 거짓말: 이지영 소설 2016 / 지음: 이지영 / 나무옆의자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민화는 민화다 : 이야기로 보는 우리 민화세계 민화는 민화다 : 이야기로 보는 우리 민화세계 2017 / 지음: 정병모 / 다할미디어
민화의 맛 : 회화적인 매력으로 감상하는 서민민화 80점  민화의 맛 : 회화적인 매력으로 감상하는 서민민화 80점 2019 / 지음: 박영택 / 아트북스
민화, 색을 품다  : 민화 작가 오순경의 우리 그림 이야기 민화, 색을 품다 : 민화 작가 오순경의 우리 그림 이야기 2017 / 지음: 오순경 / 나무를 심는 사람들
한국의 초상화  : 형形과 영影의 예술 한국의 초상화 : 형形과 영影의 예술 2009 / 조선미 지음 / 돌베개
민화 속 삶 이야기 민화 속 삶 이야기 2018 / 임영주 지음 / 미진사
민화에 홀리다  : 조선 민화, 현대의 옷을 입다 민화에 홀리다 : 조선 민화, 현대의 옷을 입다 2010 / 이기영 글 ; 서공임 그림 / 효형출판
민화의 뿌리 민화의 뿌리 2015 / 지음: 김영재 / 자유문고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1,1-8, 무궁화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1,1-8, 무궁화 2010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Ⅱ, 모란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Ⅱ, 모란 2010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Ⅲ, 장미 (초보자를 위한 이기종의) 화조화 길잡이. Ⅲ, 장미 2010 / 이기종 저 / 書藝文人畵
민화 민화 1995 / 김영학 글.사진 / 대원사
산신도 산신도 1998 / 윤열수 글,사진 / 대원사
불교회화 불교회화 2004 / 유마리;김승희 [같이]지음 / 솔출판사
청록산수, 낙원을 그리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의 청록산수화 청록산수, 낙원을 그리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의 청록산수화 2006 / 편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글: 문동수 / 주자소
조선의 묵죽 조선의 묵죽 2007 / 백인산 저 / 대원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