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제국은 ‘대동아전쟁’의 무대이자 이 전쟁을 통해 건설하고자 한 ‘대동아공영권’의 공간을 ‘동양’과 ‘남양’, 그리고 ‘남방’이라 불렀다. ‘동양’이 메이지 시기 이래 밀어붙인 북진의 공간이었다면, 남양은 1910년대 중반 이후 확보하게 된 남양군도에서 출발하여 태평양전쟁으로 더욱 확장된 남진의 공간이었다.이 책은 일본 제국주의의 또 다른 침략인 남진과 대동아공영권을 주요하게 다룬다. 남양에 대한 인식과 남진론이 메이지 시기 이후 시국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대동아공영권’ 구상에 따른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공과 점령정책이 어떤 변주 과정을 거쳤는지를 살폈다. 또한, 남양과 남방 연구를 위한 일본의 조직과 제도, 프랑스와의 학문 교류 실태를 들려준다. 결국 남양군도와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일본의 남양 연구 또는 남방 연구가 남진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내용을 채워나간 것에 다름 아님을 확인시켜준다. 이 책은 대부분의 일제 식민사학 연구가 한반도와 일본, 더 나아가 만주와 중국 대륙에서 머무는 것에서 그 경계를 허물고 동남아시아까지 시야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서라 하겠다.
서가브라우징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2014 / 박훈 지음 / 민음사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2020 / 지음: 박훈 / 21세기북스:
일본군국주의의 역사와 뿌리2015 / 선우학원 지음 / 내일을여는책
(幕末의 풍운아)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메이지 유신2017 / 손일 지음 / 푸른길
만들어진 신의 나라 : 천황제와 침략 전쟁의 심상지리2014 / 정창석 지음 / 이학사
메이지 유신이 조선에 묻다 : 일본이 감추고 싶은 비밀들 2018 / 글·사진: 조용준 / 도도
(메이지 후예들의 야욕)한일공동정부: 기시 노부스케에서 아베 신조까지, 미소 뒤의 칼날2020 / 조용준 지음 / 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