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에의 초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은 케인즈와 당대에 그와 같이 연구하던 일단의 거장들의 사상과 이론을 바탕으로 케인즈의 적자(嫡子)임을 주장하며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을 중심으로 발전시켜온 경제학 조류이다. 이와는 달리, 주류 경제학 이론체계 내에서의 ‘케인지언’은 케인즈의 사상을 왜곡한 케인즈의 사생아이거나, 혹은 케인즈와는 전혀 무관한 무늬만 케인즈인 이론에 불과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조명을 받고 있는 금융불안정성 가설, 최근 회자되는 현대통화이론(MMT), 내생적 기술변화에 관한 이론이나 수출주도 누적적 인과관계 모형, 그리고, 임금주도성장정책(한국에서는 소득주도성장으로 불리움) 등은 이러한 케인즈의 적자들 중 민스키, 러너, 칼도, 그리고 칼레츠키 등의 거장들이 발전시켜온 이론들로서 케인즈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본서는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자 중 가장 저명하고 존경받는 학자 중의 한사람인 노장 존 킹 교수(John E King)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이 다루는 폭넓은 영역의 주제의 핵심적인 사항을 일반독자들을 위하여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다. 본서를 통하여 독자들은 기존의 주 류 경제학적인 사고에 얽매인 관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열린 그리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현재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경제 문제들을 볼 수 있는 계기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