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서문
이 책의 저술 과정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
1. 한국인의 색채의식
색의 언어적 고찰
전통색의 생성
한국인의 색채관
백의민족
2. 한국 전통색의 역사
고대와 샤머니즘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3. 고문헌 속의 색채
선화봉사고려도경
조선왕조실록
산가요록
국조오례의
악학궤범
본초강목
각의궤예소
동의보감
천공개물
개자원화전
성호사설
국혼정례
탁지준절
상방정례
산림경제
이수신편
청장관전서
한중록
해동농서
임원십육지
만기요람
규합총서
궁중발기
한양가
오주연문장전산고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
1. 음양오행사상과 색채관
하도낙서
음양
오행ㆍ오상
태극도설
사상팔괘
2. 정색과 간색
오방정색
십간색
오방정색과 십간색ㆍ하도낙서
생활 속의 오방정색
오방정색과 소리
오방정색과 태극기
3.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
한국 전통색의 표준체계
한국 전통색의 색상체계
한국 전통색의 농담체계
3장 한국 전통색의 해설
1. 적색
갈색 褐色
강색 絳色
노홍색 老紅色
다자색 茶紫色
단색 丹色
도홍색 桃紅色
동색 彤色
등색 橙色
목홍색 木紅色
번색 蕃色
보라색 甫羅色
비홍색 緋紅色
석간주색 石間硃色
성홍색 猩紅色
연지색 臙脂色
위색 煒色
육색 肉色
은색 殷色
자색 紫色
자주색 紫朱色
장단색 長丹色
적색 赤色
적자색 赤紫色
적토색 赤土色
적황색 赤黃色
전색 縓色
정색 丁色
주색 朱色
주홍색 朱紅色
진색 縉色
천색 蒨色
추향색 秋香色
포도색 葡萄色
혁색 赩色
현훈색 玄纁色
호색 昈色
홍색 紅色
확색 雘色
훈색 纁色
휴색 髹色
2. 황색
괴색 壞色
규색 黊色
금색 金色
다할색 茶割色
돈색 敦色
두록색 豆綠色
등황색 藤黃色
락색 駱色
백황색 栢黃色
상색 緗色
송화색 松花色
아황색 蛾黃色
아황색 鵝黃色
운색 熉色
웅황색 雄黃色
자황색 赭黃色
자황색 雌黃色
장색 醬色
지황색 芝黃色
치자색 巵子色
침향색 沈香色
토색 土色
행황색 杏黃色
호박색 琥珀色
홍황색 紅黃色
화색 華色
황상색 黃廂色
황색 黃色
3. 청색
감색 紺色
군청색 群靑色
남색 藍色
녹색 綠色
뇌록색 磊綠色
단청색 蛋靑色
대홍관록색 大紅官祿色
번루색 蘩縷色
벽색 碧色
복청색 福靑色
비색 翡色
삼록색 三綠色
삼청색 三靑色
아청색 鴉靑色
애색 艾色
앵가록색 鸚哥錄色
양록색 洋綠色
옥색 玉色
유록색 黝綠色
유록색 柳綠色
정색 靘色
창색 蒼色
창록색 蒼綠色
천청색 天靑色
청색 靑色
청록색 靑綠色
청자색 靑紫色
청현색 靑玄色
초록색 草綠色
총색 蔥色
취람색 翠嵐, 翠藍色
풀류청색 柳靑色
포도청색 葡萄靑色
포두청색 包頭靑色
표색 縹色
하엽색 荷葉色
4. 흑색
검색 黔色
날색 捏色
담색 黮色
담색 黕色
로색 玈色
맘색 鋄色
묵색 墨色
미색 黴色
오색 烏色
유색 黝色
이색 黟色
이색 鯬色
조색 皁色
참색 驂色
추색 緅色
치색 緇色
칠색 漆色
현색 玄色
흑색 黑色
5. 백색
교색 絞色
구색 鳩色
백색 白色
분색 粉色
설백색 雪白色
소색 素色
애색 皚色
운백색 雲白色
유백색 乳白色
지백색 紙白色
파색 皤色
학색 矐色
호색 縞色
호색 顥色
회색 灰色
4장 생활 속의 색채
1. 예절과 색채
국조오례의
반차도
관혼상제
벽사와 생활
2. 의복과 색채
조선시대의 복색의 발전
조선시대의 왕복과 관복
조선시대 서민의 예복
장신구 및 패물
색동
복색의 금제
3. 음식과 색채
조선시대의 식생활
음식과 색채 조화
음양오행적 상차림
4. 건축과 색채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
단청의 이해
단청의 색채
단청의 종류와 특성
결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