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한 채의 집에 대한, 한 권의 보고서이자 실험일지다. 세종에 위치한 단독주택 ‘람다패시브하우스’의 디테일과 도면, 사진은 물론 건축주의 성실하고 끈질긴 준공 후 데이터 모니터링 등 건축물리를 적용해 우연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담았다.
목차
시작하면서 변화의 시대
제1장 패시브하우스 이해하기 1 패시브하우스는 기존 건물과 무엇이 다른가? 2 패시브하우스란 무엇인가? 3 패시브하우스 기본 구성 요소 ① 단열 ② 기밀 ③ 열교(Thermal bridging) ④ 패시브에너지 ⑤ 건축물의 향과 창호 ⑥ 환기 / 공기조화기 4 패시브하우스의 계획 원칙 5 한국 기후의 특성과 적용 6 쾌적한 실내 환경 ① 열적쾌적함이란? ② 여름철 적정 실내 온도 ③ 내부 발열 ④ 축열? 단열? ⑤ 차양 장치 ⑥ 자연 환기 7 실내 습도를 관리하는 효율적 방안 ① 습기 발생 ② 습기(Buffer) ③ 전열교환기
제2장 람다패시브하우스 설계 과정 1 긴 여정의 시작 2 어려움과 한계 3 람다패시브하우스 기본 데이터 4 중요 검토 사항 ① 기본 레이어 구성 계획 ② 기초 ③ 벽체 ④ 지붕 5 열교 6 기밀 계획 7 창호 및 차양 8 습 환경 9 설비 계획 ① 환기 계획 ② 난방 계획 ③ 냉방 및 제습 계획 10 오하수 벤트(통기용 배관) 11 화장실 설비층 12 주방 환풍기(후드)
제3장 계획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1 PHPP (Passive House Planning Package) 2 Energy # 3 WUFI (acronym for Wärme und Feuchte Instionär, 온습도 시뮬레이션) 4 PHPP / Energy# 비교(람다패시브하우스) ① 일반적 사항 ② 시뮬레이션 데이터 검토 및 수정 ③ PHPP V9.4에서 검토한 다양한 조건과 검토 결과 ④ 분석과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