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외국인등록령과 조선인단체 1. 외국인 등록령 공포公布와 재일조선인단체 2. 교섭에서 투쟁으로: 1947년 7월 3. 외국인 등록 실시: 1947년 8월 이후 4. 외국인 등록의 기반 정비: 등록 실시 후의 내무성 조사국
4. 조국 건설의 일꾼 1. 새 활동가의 탄생 2. 활동가들의 세계
5. ‘이중의 과제’와 재일조선인운동 1. 조선독립 문제와 일본의 민주화 2. 민족인가 계급인가 3. 재일조선인의 참정권을 둘러싸고 4. 남북 분단과 백무 서기장의 파면 문제
6. 남북 분단과 민족교육 1. 조선학교폐쇄령과 민족교육 옹호투쟁 2. 남조선 단독선거와 건청 효고
7. ‘조국과의 직결’과 일본의 민주화 1. ‘정당한 외국인 대우’란 무엇인가 2. ‘조국과의 직결’이 의미하는 것
8. 조련과 민청의 해산 1. 패전 후 일본의 단체 규제와 조선인단체 2. 조련 해산론의 등장 3. 특별심사국의 ‘방침 전환’과 조련?민청 해산 4. 해산과 그 영향
9. 외국인 등록체제의 형성 1. 외국인 등록령 개정 2. 재외국민등록과 외국인 등록
종장. 조선 독립으로 가는 험한 길 1. 봉쇄된 ‘해방’: 조선인 지배의 재편 2. 새로운 ‘전시’로: 분단과 외국인 등록체제의 성립
보론 1. 전쟁 책임과 식민지 지배 책임, 재일조선인은 어떻게 보았나 : 도쿄재판과 반민특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1. 문제의 소재: ‘식민지 책임론’의 부재? 2. 재일조선인운동의 ‘전쟁범죄인’ 추궁과 ‘친일파’ 문제 3. 전범재판을 둘러싼 재일조선인의 논설 4. 세계사적인 ‘식민지 책임론’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보론 2. 쓰시마 거류 조선인의 ‘해방 5년사’ : 재일본조선인연맹 쓰시마 도본부를 중심으로 1. 쓰시마 조선인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나 2. 패전 후 쓰시마의 ‘밀항’ 경비체제 3. 재일본조선인연맹 쓰시마 도본부의 조직과 활동 4. 남북 분단과 쓰시마의 조선인 사회 5. 잊혀진 ‘국경의 섬’의 해방 공간
저자 후기 옮긴이 후기 관련 연표 본문 출처 도판 출처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한국 민중항쟁 답사기: 광주·전남 편: 나를 만든 현대사, 그날의 함성 속으로2020 / 지음: 이혜영 / 내일을여는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