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비와 공空 : 아날라요 스님의 초기불교 명상수업
발행연도 - 2018 / 지음: 아날라요 ; 옮김: 이성동, 윤희조 / 민족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98021
-
ISBN
9791189269036
-
형태
35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불교
>
불교교리
-
카테고리분류
종교
>
불교
>
불교명상/수행/신앙생활
책소개
자비와 공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저자 아날라요 스님은 붓다의 초기 설법 가운데 자비와 공이라는 주제와 연관된 구절들을 빨리 경전, 한역 아함경, 산스끄리뜨 경전과 티베트 경전에서 발췌해 섬세하게 비교 검토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목차
17대 까르마빠 성하의 서문
옮긴이의 글
약어표
서론
I _ 연민의 함양
1. 연민의 특징
2. 연민과 윤리성
3. 연민과 사성제
4. 연민과 가르침
5. 연민과 안거
6. 명상에서 연민
7. 명상에서 보는 연민의 대상
8. 요약
Ⅱ _ 연민의 맥락
1. 자애
2. 일상 행동에서 자애
3. 공격성에 직면하여
4. 마음의 아름다움
5. 연민과 더불어 기뻐함
6. 연민과 평정심
7. 연민과 다른 무량심들
8. 요약
Ⅲ _ 연민의 성숙
1. 자애의 이익
2. 확산하는 연민과 선정
3. 마음의 해탈로서 연민
4. 연민과 업
5. 연민과 통찰
6. 연민과 깨달음의 요소들
7. 연민과 무한한 공간
8. 요약
Ⅳ _ 공한 물질
1. 공하다는 것의 성질
2. 공을 향한 점진적인 진입
3. 땅
4. 무한한 공간
5. 무한한 공과 연민
6. 요약
Ⅴ _ 공한 마음
1. 무한한 의식[識無邊處]
2. 의식의 특징
3. 의존적 발생
4. 바히야에게 주는 가르침
5. 일상생활의 공
6. 요약
Ⅵ _ 공한 자아
1. 무소유처(無所有處)
2. 흔들림 없음
3. 무아(無我)
4. 지각도 아니고 지각이 아닌 것도 아닌 것[非想非非想處]
5. 무상(無相)
6. 공의 실현
7. 공의 역동성
8. 요약
Ⅶ _ 실제적 가르침
1. 기반을 놓다
2. 연민과 다른 무량심들
3. 확산 수행
4. 공의 명상
Ⅷ _ 경전 번역
1. 「의도에 대한 경전」
2. 「공에 대한 짧은 경」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3. 「공에 대한 긴 경」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1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