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PART Ⅰ 생애주기 영양학의 의의
01 생애주기 영영과 건강
1.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과 영양 섭취 현황
2. 한국인의 식생활 변화와 영양 문제
3. 한국인의 식생활 지침과 기초 식품군
4. 성장과 발달
PART Ⅱ 모성 영양
02 임신기 영양
1. 임신기 영양의 중요성
2. 임신 중의 생리적 변화
3. 태아의 발육
4. 임신부의 질병과 식사 관리
5. 임신 결과에 영향을 주는 생활습관 요인
6. 임신부의 영양 필요량
03 수유기 영양
1. 수유의 생리
2. 수유부의 영양 필요량
3. 수유부의 영양 지도
PART Ⅲ 성장 영양
04 영아기 영양
1. 영아기의 특성
2. 영아의 성장과 발달
3. 영아의 생리 발달
4. 영아의 영양소 섭취기준
5. 영아의 영양 공급
6. 이유 영양
7. 우리나라 영아의 영양소 섭취 실태
8. 영아기 영양 관련 문제
9. 미숙아 영양
05 유아기 영양
1. 유아기의 특성
2. 유아의 영양소 섭취기준
3. 유아의 식생활 및 간식
4. 유아기의 영양 문제
5. 유아의 영양 지도
06 아동기 영양
1. 아동기 특징
2. 아동기의 영양소 섭취기준
3. 아동기의 식사 지도
4. 학교급식
5. 아동기의 영양과 관련된 문제들
07 청소년기 영양
1. 청소년기의 특성
2. 사춘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청소년기 영양과 영양소 섭취기준
4. 청소년기 식행동
5. 청소년기의 섭식 장애
6. 청소년기 영양 관련 문제
PART Ⅳ 성인 영양
08 성인기 영양
1. 성인기의 특징
2. 성인기의 영양소 섭취기준
3. 중년기 건강을 위한 지침
4. 성인기 영양의 중요성
5. 영양과 생활습관병
6. 갱년기의 영양
09 노년기 영양
1. 노인 인구의 변화
2. 노화 이론
3. 노년기의 생리적 변화
4. 노인의 영양소 섭취기준
5. 적절한 식품의 선택
PART Ⅴ 특수 환경 영양
10 운동과 영양
1. 운동의 의의
2. 운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3. 운동 과정 중 신체의 각 부분에 일어나는 변화
4. 운동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5. 운동과 영양
6. 각종 운동의 에너지 소비량
7. 운동선수를 위한 식사
11. 노동과 영양
1. 노동의 특성
2. 노동의 생리
3. 노동과 건강
4. 노동과 영양
5. 노동 환경과 영양
12 스트레스와 영양
1. 스트레스의 개념
2. 스트레스의 종류
3.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4. 스트레스의 강도
5. 스트레스와 영양
6. 내부 환경의 항상성
7.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appendix 부록
1.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머리둘레)
3.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체중, 신장: 1998년과 2007년 비교)
4. 2006년 세계보건기구(WHO) 어린이 성장 기준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