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를 통한 시민과 정부가 정책 순환고리는 정책 효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온라인 참여, 주민투표 플랫폼, 스마트 시티 등을 통해서 점차 소멸하는 지역공동체를 소생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았다.
목차
Chapter 1. 비정형적 참여의 일상화 11 제1절 소셜 미디어와 비관습적 시민참여 13 1. 새로운 정치참여 도구의 등장 13 2. 비관습적 시민참여 17 3. 소결 29 제2절 스마트사회로의 전환 34 1. 스마트사회의 도래와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34 2.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으로서의 스마트정부 42 3. 스마트정부의 유형과 조건 47 4. 소결 65
Chapter 2. 온라인 주민참여 69 제1절 온라인 주민참여 확대를 통한 주민자치 강화 71 1. 서론 71 2. 주민참여 이론 73 3. 우리나라 지자체의 대표적 온라인주민참여제도 90 4. 주민자치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 확대 방안 107 제2절 직접민주주의와 주민참여의 확대 방안 114 1. 서론 114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18 3.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주민참여의 현실 그리고 대안 121 4. 상향식 민의 전달 모델 : 온라인 주민투표 플랫폼의 기본 구성 129 5. 온라인 주민투표 플랫폼의 성공 가능성 확인 141 6. 결론 153
Chapter 3. 변화하는 도시행정 157 제1절 지속 가능한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사례 : Smartopia Gimpo 159 1. 서론 159 2.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165 3. 김포시 스마트시티(Smartopia Gimpo) 사례분석 173 4. 김포시 스마트시티(Smartopia Gimpo) 평가 186 5. 결론 192 제2절 도시형 스마트 커뮤니티 구축 방안 : 동대문구에 대한 예시 195 1. 동대문구의 현황 195 2. 동대문구형 스마트 커뮤니티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