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개요
1.1 신호
1.1.1 연속 신호와 이산 신호
1.1.2 주기 신호와 비주기 신호
1.1.3 에너지 신호와 전력 신호
1.2 시스템
1.3 디지털 신호처리
1.3.1 신호처리 방법
1.3.2 디지털 신호처리 제품들
1.4 디지털 신호처리 범주
CHAPTER 02 이산 신호
2.1 정현파 신호(sinusoidal signal)
2.1.1 등각속도 회전운동
2.1.2 연속시간 정현파 신호
2.1.3 이산시간 정현파 신호
2.1.4 이산 정현파 신호
2.2 이산 신호의 종류
2.2.1 단위 임펄스(unit impulse) 신호
2.2.2 단위 계단(unit step) 신호
2.2.3 단위 램프(unit ramp) 신호
2.2.4 지수(exponential) 신호
2.3 이산 신호의 연산
2.3.1 이산 신호의 합 또는 차 연산
2.3.2 이산 신호의 곱 연산
2.3.3 이산 신호의 스칼라 곱 연산
2.3.4 이산 신호의 시간 천이 연산
2.3.5 이산 신호의 시간 반전 연산
CHAPTER 03 연속시간 푸리에 분석
3.1 기저와 신호 확장
3.1.1 기저와 신호 확장
3.1.2 복소 지수 신호
3.2 연속시간 푸리에 급수(CtFS)
3.2.1 삼각 함수를 사용한 푸리에 급수
3.2.2 복소 지수를 사용한 푸리에 급수
3.3 연속시간 푸리에 변환(CtFT)
CHAPTER 04 이산시간 푸리에 분석
4.1 샘플링
4.1.1 샘플링(sampling)
4.1.2 디지털 주파수
4.1.3 에일리어싱(aliasing)의 개념
4.1.4 주파수 영역에서 본 샘플링
4.2 이산시간 푸리에 분석
4.2.1 연속시간 푸리에 변환 쌍과 급수 쌍의 관계
4.2.2 이산시간 푸리에 변환(DtFT)
4.2.3 이산 푸리에 급수(DFS)
4.3 복원
4.3.1 샘플링 정리
4.3.2 복원
CHAPTER 05 이산 푸리에 변환
5.1 이산 푸리에 변환(DFT)
5.1.1 이산 푸리에 변환의 정의
5.2 이산 푸리에 변환 성질들
5.3 DFT를 사용한 스펙트럼 측정
5.3.1 DFT의 스펙트럼 측정 방법
5.3.2 윈도우 함수 사용하기
5.3.3 영점 채우기(zero padding) 연산
CHAPTER 06 이산 시스템과 응답
6.1 이산 시스템
6.2 LTI 이산 시스템의 응답
6.2.1 선형 콘벌루션
6.2.2 원형 콘벌루션
6.2.3 블록 콘벌루션
6.3 콘벌루션 성질들
6.3.1 콘벌루션 연산의 성질들
6.3.2 콘벌루션 정리
CHAPTER 07 z 변환
7.1 z 변환
7.1.1 z 변환의 정의
7.1.2 유한 길이 수열의 z 변환
7.1.3 무한 길이 수열의 z 변환
7.1.4 수렴영역의 성질들
7.1.5 DtFT의 일반화로서 z 변환
7.2 z 변환의 성질들
7.3 z 역변환
7.3.1 유한 길이 수열의 z 역변환
7.3.2 무한 길이 수열의 z 역변환
CHAPTER 08 이산 시스템 표현과 분석
8.1 차분 방정식
8.1.1 차분 방정식
8.1.2 차분 방정식의 형태
8.1.3 입력-출력 데이터로부터 차분 방정식
8.2 변환 영역에서 시스템 표현과 분석
8.2.1 전달함수
8.2.2 주파수 응답함수
8.2.3 시스템 표현들 간의 관계
8.3 전달함수를 사용한 시스템 분석
8.3.1 인과성(causality)
8.3.2 안정도(stability)
CHAPTER 09 디지털 필터 구조
9.1 LTI 이산 시스템 분석, 설계 및 구현
9.1.1 기본 소자들
9.2 IIR 필터 구조
9.2.1 직접형(direct form) IIR 필터 구조
9.2.2 직렬형(cascade form) IIR 필터 구조
9.2.3 병렬형(parallel form) IIR 필터 구조
9.3 FIR 필터 구조
9.3.1 직접형(direct form) FIR 필터 구조
9.3.2 직렬형(cascade form) FIR 필터 구조
9.3.3 선형 위상형(linear phase form) FIR 필터 구조
CHAPTER 10 FIR 필터 설계
10.1 디지털 필터 설계
10.1.1 이상적인 필터의 종류
10.1.2 디지털 필터 설계
10.2 선형 위상 FIR 필터 특성
10.2.1 선형 위상 필터의 형태
10.2.2 선형 위상 필터의 주파수 응답
10.2.3 영점 위치
10.3 설계 기법들
10.3.1 창(window)함수 설계 기법
부록 B01 LabVIEW 프로그래밍 기초
B1.1 LabVIEW 개요
B1.1.1 VI의 구성 요소들
B1.1.2 VI 시작하기
B1.2 데이터 타입, 배열과 클러스터
B1.2.1 데이터 타입
B1.2.2 배열과 클러스터
B1.3 구조
B1.3.1 타이밍(timing) 함수들
B1.3.2 For 루프
B1.3.3 While 루프
B1.3.4 Case 문
부록 B02 데이터 수집
B2.1 데이터 수집 개요
B2.2 MAX
B2.3 DAQmx 함수 사용법
B2.3.1 DAQmx VI 개요
B2.3.2 DAQmx 태스크 상태 모델
B2.3.3 [DAQmx 읽기] VI 함수 사용하기
B2.3.4 [DAQmx 타이밍] VI 함수 사용하기
B2.3.5 DAQ Assistant 사용하기
부록 B03 생체신호 계측
B3.1 버니어 센서
B3.1.1 센서 종류
B3.1.2 센서의 인터페이스
B3.2 생체신호 측정
B3.2.1 악력 측정
B3.2.2 체온 측정
B3.2.3 심박동수(Heart Rate) 측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