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인사말
왜 과학을 배울까요?
과학 시간에는 무엇을 배우나요?
과학 시간에 과학 지식만 배우나요?
1장 관찰
관찰이란 무엇인가?
관찰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무엇을 관찰해야 하나요?
과학자 중에 누가 관찰을 가장 잘했을까?
복습 볼펜을 자세히 관찰해 볼까요?
한걸음 더 숟가락에 비친 모습을 관찰해 보세요.
2장 분류
분류란 무엇인가?
분류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분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 하나의 기준으로 두 무리로 나누기
(2) 나눈 것을 또 다른 기준으로 나누기
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과학자, 린네
복습 한 가지 기준으로 두 무리로 나누기
한걸음 더 나눈 것을 또 다른 기준으로 나누기
3장 측정
측정이란 무엇인가?
측정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우리가 자의 눈금을 읽는 법
(2) 과학자들이 자의 눈금을 읽는 법
과학자들은 왜 우리보다 한 자리 더 아래 숫자를 눈짐작으로 읽을까요?
측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 길이의 측정
(2) 무게의 측정
(3) 부피의 측정
(4) 온도의 측정
복습 다음 기구들의 눈금을 학교에서 배운 대로 읽어 보세요.
한걸음 더 다음 기구들의 눈금을 과학자처럼 읽어 보세요.
4장 예상
예상이란 무엇인가?
예상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예상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 주어진 자료의 바깥 부분 예상하기
(2) 주어진 자료의 빠진 부분 예상하기
(3) 어림하기
과학자 핼리가 예상한 대로
나타난 핼리 혜성
복습 도시의 평균 기온을 예상해 보세요.
한걸음 더 해 뜨는 시간을 예상해 보세요.
5장 추리
추리란 무엇인가
(1) 추리는 관찰에 대한 설명이에요!
(2) 추리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요!
(3) 수업 시간과 일상생활에서도 항상 추리를 해요!
(4) 추리는 바뀔 수도 있어요!
[상황 1] 최초의 관찰과 추리
[상황 2] 추가 관찰과 처음 추리의 폐기, 새로운 추리
[상황 3] 새로운 관찰에 의한 지식의 습득
추리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관찰과 예상, 추리는 어떻게 다른가요?
추리왕 셜록 홈스
복습 누구의 가방일까요?
한걸음 더 발자국을 보고 추리해 보세요.
6장 의사소통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효과적인 의사소통 훈련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 다른 사람에게 물체 설명하기
(2) 설명하기와 설명대로 따르기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과학자들의 의사소통
복습 종이비행기 접기
한걸음 더 칠교 놀이
답안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