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정이, 이소마에 준이치, 전성곤의 <일본탈국가론>. 1부 '역사와 기억 - 작위와 인식', 2부 '국민사와 제국 - 복수성과 목소리', 3부 '역사와 혈통론 - 횡단과 재귀'로 구성되었다.
목차
들어가며
서장 [방법으로서] 국가와 여백
1. [방법으로서]라는 ‘방법’의 혁명
2. 일본의 네이션(nation)론과 사상의 사상성
3. 근대의 여백-창조·상상을 넘어서
4. 국민국가의 균질성과 차이성의 초극
제1부 역사와 기억-작위와 인식
제1장 역사의 작법(作法)과 천황 재현의 기법(技法)
1. ‘역사’와 ‘역사관’의 거리
2. 자유와 지조(知造)의 신화
3. 탈(脫) 학지와 ‘상실(相實)’의 발견
4. 평행시공(平行時空) 구조로서 혁신과 국가주의
5. 네이션 신화의 내부에서
제2장 ‘공공 천황론’ 속의 내셔널리즘·‘내셔널리즘’ 속의 공공천황론 -‘배제의 배제’와 선택의 상호성-
1. 아프리오리의 초극과 에피파니(epiphany) 사이에서
2. ‘사상·무사상’의 경계
3. ‘부여받은 것’에 대한 개칭과 변신
4. 탈각의 온톨로지(ontology)들
5. ‘공동 생활’에서 ‘공공성=천황’ 국가로
6. 반전의 내셔널리즘·내셔널리즘의 반전
제3장 ‘주체성’ 구조와 ‘동양’ 표상의 곤란성 -쓰다 소키지, 오카와 슈메이, 미노다 무네키의 착종-
1. 상대적 객관성이라는 물음
2. 자명성에 대한 다층적 원리
3. 배제하는 ‘배제의 논리’
4. [방법으로서]의 ‘동양’과 일본의 재구성
5. 공동(空洞)의 동양 공동체
제2부 국민사와 제국-복수성과 목소리
제4장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의 ‘국민사’ 구상 -다민족제국 속의 단일민족 국가론의 역할-
1. 국민사의 재검토란 무엇인가
2. 쓰다 소키치의 단일민족 국가론과 식민주의의 그림자
3. 전후 일본과 영웅 시대론
제5장 복수성의 목소리 -천황, 국민, 천민에 대해-
1. 공공성의 금기·금기의 공공성
2. ‘벌거벗은 삶’과 공공성
3. 신들의 목소리와 복수성
4. ‘약함·약자’와 ‘감함·강자’
제3부 역사와 혈통론-횡단과 재귀
제6장 ‘계보’의 아이덴티티와 ‘혈통론’의 정치성 -전(箋)에서 전(傳), 그리고 역사로-
1. ‘천황계보론’의 발생과 ‘탈(脫)사물화’의 사이
2. 「황조기년전」에서 「열성전」으로
3. 존황주의와 천황 계보
4. 수사(修史)사업과 천황 계보
5. 전(傳)에서 역사로의 결정(結晶)
6. 사류(史流)의 전위와 ‘재귀 천황론’
제7장 횡단문화론의 구조와 ‘문명천황론’의 문제 -오카와 슈메이, 오카쿠라 덴신, 와카미야 유노스케-
1. 사상의 ‘근대론’과 ‘횡단문화론’
2. 오카와 슈메이, 오카쿠라 덴신, 와카미야 유노스케
3. 횡단을 위한 비교론의 양면성과 황통(皇統)
4. 원천적 문명론의 활용과 횡단문명론
5. 귀일(귀一) 폴리틱스와 ‘천황론’
6. 팔린드롬(palindrome)을 넘어서
참고문헌
초출일람
찾아보기
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