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은 어떤 학문을 추구해야 하는가' 하는 고민을 오랫동안 해온 언론학자가 원론적인 차원에서의 문제 제기부터 시작해 구체적으로 언론학 내에서 세부 연구 영역별로 접근해 심도 있게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1장 한국 언론학, 어떤 학문을 할 것인가 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이론의 영역화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1부 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2장 언론학의 영역주의와 정체성 위기 1. 무엇이 문제인가 2. 영역주의와 정체성의 설정 3. 공식적 지식과 비공식적 지식의 이중 구조 4. 비공식적 지식의 닮은꼴인 공식적 지식 5. 언론학의 현실 연관성: 비판 언론학의 사례 6. 현실에 근거한 언론학을 위해 3장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1. 언론학은 성공한 학문인가 2. 새로운 지식과 낡은 틀: 언론학 연구의 파편화 3. 왜 SMCR 패러다임이 문제인가 4. 지식 파편화의 역사적, 구조적 맥락 5. 패러다임 대화의 실종과 이론적 다원주의의 허상 6. 인문학적 상상력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탐색 4장 수정주의 전통과 비판 언론학 1. 수정주의를 다시 본다 2. 수정주의의 현대적 의미 3. 영역주의와 방법론적 순수주의 비판: 이론적 차원의 수정주의 4. 수정주의의 실천적 함의: 사회주의에서 급진적 다원주의로 5. 수정주의와 비판 언론학의 과제 5장 언론학에서 비판적 패러다임의 문제 설정 1. 왜 문제 설정이 문제인가 2. 전환기의 비판적 패러다임, 단절과 연속성 3. 비판적 패러다임의 정체성 문제 4. 1980년대는 무엇을 남겼는가 5. 1990년대, 근대와 탈근대의 문제 설정 6. ‘근대성’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부 이론의 영역화와 맥락화 6장 공간 이론과 한국 지역 방송 연구 1. 왜 ‘공간’ 이론이 필요한가 2. 기술적·지리적 공간 개념의 한계 3. 규범적 공간 개념의 한계 4.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지역, 지역 방송 5. 방송 연구의 학문 정체성에 대한 반성 7장 지역 언론학의 학문 정체성 1. 지역 언론학은 무엇을 하였는가 2. 사회 현상으로서의 지역 언론 3. 지역 언론 연구와 규범성 4. 지역 언론 연구와 공간성 5. 지역 언론학, 어디로 갈 것인가 8장 저널리즘 연구의 지식사 1. 저널리즘 연구를 다시 본다 2. 저널리즘 연구란 무엇인가 3. 저널리즘 연구, ‘학문의 사생아적’ 기원과 그 유산 4. 경험주의 연구의 등장과 학문적 편향화 5. 비판 이론의 등장과 저널리즘의 ‘해체’ 6. 이론적 다원화와 저널리즘의 귀환 7. 탈저널리즘 시대와 저널리즘 연구의 미래 9장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진단 1. 왜 생산 연구인가 2. 텔레비전 생산 연구란 무엇인가 3. 한국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주요 흐름과 특징 4. 문제 제기와 대상 설정에서의 문제점 5. 연구방법론의 문제점 6. 두 걸음 전진을 위한 한 걸음 후퇴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당신은 나의 아즈위 : 청춘들의 희망 인터뷰 2021 / 글: 김민규 외 / 대구한국일보
TV 볼 줄 아십니까? :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방송 모니터링2012 / 민영목 지음 / 나남
한국 언론의 품격2013 / 박재영 외 지음 / 나남
가짜 vs 진짜2020 / 지음: 안네마리 본; 그림: 웬디 판더스; 옮김: 유혜자 / 꿈꾸다:
내 손안의 미디어테크 : 현직 기자가 전하는 미디어 콘텐츠 발굴법과 미디어의 미래2015 / 이경태 지음 / 나노미디어
도대체 가짜 뉴스가 뭐야? 2020 / 카롤리네 쿨라 지음 ; JUNO 그림 ; 김완균 옮김 / 비룡소
민중언론학의 논리 : 정보혁명시대 네티즌의 무기2015 / 손석춘 글 / 철수와영희
지식의 장, 학문의 제도화 : 한국 언론학의 정체성 탐색 2019 / 지음: 임영호 / Culture Look(컬처룩)
언론과 공인2018 / 지음: 이재진 / 한양대학교 출판부
잡지의 사생활2019 / 박찬용 지음 / 세이지
나쁜 기자들의 위키피디아: 우리 사회를 망치는 뉴스의 언어들2019 / 강병철 지음 / 들녘
혁신 저널리즘2015 / 강정수, 이성규, 최진순 [공]저 / 박문각
뉴스 안과 밖의 여성 : 한국 저널리즘에서 나타나는 젠더 문제2017 / 김경희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뉴스를 말하다 : 뉴스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에 대하여2016 / 김성준 지음 / 청림
기자가 되고 싶은 청소년에게 : 신문 만들기, 신나는 취재 활동부터 기사 작성까지 2022 / 지음: 김형준 / 소동
같은 주제의 책
뉴스를 말하다 : 뉴스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에 대하여2016 / 김성준 지음 / 청림
저널리즘의 미래 = The future of journalism : 자기복제와 포털 중독 언론에 미래는 있는가2015 / 지은이: 이정환, 김유리, 정철운, 조수경, 강성원, 김도연, 금준경 / 인물과사상사
진실, 그것을 믿었다 : 황우석 사태 파일2014 / 지음: 한학수 / 사회평론
한미일 신문 지면 비교 : 뉴욕타임스, 요미우리신문,조선일보를 중심으로2004 / 신명선 [외]지음 / 미디어연구소
오가닉 미디어2014 / 윤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뉴스가 말하지 않는 것들 : 세상의 진실을 읽는 진짜 뉴스의 힘2016 / 지음:이정환 ; 정철운 ; 금준경 ; 차현아 ; 정상근 ; 이하늬 ; 강성원 ; 김도연 / 인물과사상사
뉴스가 위로가 되는 이상한 시대입니다2017 / 지음: 임경빈 / 부키
가짜뉴스의 고고학 : 로마 시대부터 소셜미디어 시대까지, 허위정보는 어떻게 여론을 흔들었나 2020 / 지음: 최은창 / 동아시아
대한민국 프레임 전쟁 : 뉴스로 뉴스를 덮는 언론을 말하다2017 / 지음: 미디어오늘 / 동녘
세상은 바꾸고 역사는 기록하라2013 / 신동식 외 지음 ; 최원석 엮음 / 푸르메
(다시 보는) 야만의 언론 : 대통령 노무현과 조폭언론 5년의 기록2014 / 김성재 ; 김상철 [공]저 / 책보세
팩트체크 = Factcheck : 세상을 바로 읽는 진실의 힘 2015 / JTBC 뉴스룸 팩트체크 제작팀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