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신 구조경제학은 기업자생능력을 미시분석 기반으로, 각 시점에 정해진 요소부존 구조를 접점으로 한다. 또한 신 구조경제학은 제기하기를 경제발전은 하나의 동태적 구조변천 과정으로, “효율적 시장”에 의존하여 요소 희귀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가격체계를 형성하여, 기업이 비교우위에 따라 산업, 기술을 선택하도록 유인하면서 경쟁우위를 형성하게 한다.
목차
머리말
1. 신 구조 경제학: 발전문제를 재고한 하나의 이론 틀
경제구조 및 그 변천에 관한 신 고전 틀
신 구조경제학에서 ‘신(新)’은 무엇인가?
맺음말
논평과 답변 1 안네 크루거, 대니·로드릭, 조셉·스티글리츠
답변: 발전 사고 3.0: 미래의 길
논평과 답변 2 웨이슨: 인류사회 경제성장의 내재적 메커니즘과 미래의 길 탐색
쉬용딩(徐永定): 경제 발전학의 재구성
장슈광(张曙光): 시장주도와 정부 유인
린이푸: 평론에 대한 답변
맺음말
2. 성장보고서와 신 구조경제학
들어가는 말(Introduction)
성장에 대한 탐구: 일부 미완결의 여정
성장보고서의 독특한 공헌
성장보고서에 대한 신 구조분석
결론
변론: 개발도상국 산업정책의 비교우위 준수와 위배에 관하여 린이푸, 장하준
3. 성장선별 및 맞춤형 성장촉진-구조변천 동태 메커니즘에서 정부의 역할
들어가는 말
구조변천, 효율적 시장 및 맞춤형 성장촉진형 정부
승자 선택 vs 패자 선택(Picking Winners or Losers): 역사적 교훈
성장선별과 맞춤형 성장촉진 틀
결론
논평과 답변 더크 윌렘 터벨드(Dirk Wilem te Velde), 수레쉬 텐덜카, 앨리스ㆍ앰스덴, 아모아코, 하워드 팩, 임원혁
린이푸와 몽가의 답변
4. 성장선별 및 맞춤형 성장촉진 틀의 응용-나이지리아의 사례
들어가는 말
나이지리아 최근의 경제발전 근황
성장선별 및 맞춤형 성장촉진 틀
부문 선택(Selecting Sectors)
어떻게 목표 가치사슬의 성장을 촉진할 것인가
이들 조치실시 시 어떻게 거버넌스 이슈(governance issues)를 해결할 것인가
결론
5. 제도 변천의 경제학 이론-유인적 변천과 강제적 변천
들어가는 말
제도의 역할
유인적 제도변천을 분석하는 경제학 방법
강제적 제도변천의 정치 경제학
결론
6. 금융구조와 경제발전
들어가는 말
금융구조와 경제발전에 관련된 전통적 관점
전통적 실증연구 결과
이론적 논쟁의 새로운 사조
일부 새로운 실증연구 성과
최적의 금융구조에 대한 이탈(deviation)
결론
7. 발전전략과 제도 및 경제성과
들어가는 말
성장이론: 개요
자생능력, 비교우위와 요소부존 구조
선택할만한(alternative) 발전전략
발전전략의 특징
인적자본과 경제발전
비교우위 준수와 비교우위 위배 전략의 비교
발전전략의 선택
전환 전략(The Transition Strategy)
발전전략의 선택과 경제성과: 실증적 검증
발전전략의 대리변수
발전전략과 제도
발전전략과 기업 자주권
발전전략과 경제성장
발전전략과 경제파동
발전전략과 소득분배
전환과 경제성과
결론
맺음말-개발도상 세계가 산업화의 황금시대로 가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