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디지털 뉴스 유료화, 누구를 위하여?
제1장 디지털 뉴스 유료화의 배경
1. 신문의 위기 - 광고 모델은 끝났다?
2. 포털 사이트의 공짜 뉴스가 출발점이었다
제2장 해외 언론사를 통해 배우다
1. 그들은 어떻게 뉴스 유료화를 정착 시켰나
입장료라는 강력한 개념, ‘하드 페이월’
『월스트리트 저널』
『메디아파르트』
종량제 방식의 등장, ‘미터드 페이월’
『뉴욕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파이낸셜 타임스』
무료와 유료의 철저한 분리, ‘프리미엄 모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폴리티코』
페이월을 넘어 자발적 유료화, 후원제
『가디언』
『프로퍼블리카』
그 밖의 후원제 언론사들
2. 한 눈으로 보는 해외 언론사의 뉴스 유료화
제3장 국내 언론사는 어디까지 왔나
1. 국내 상황에 특화된 디지털 뉴스 유료화의 유형
언론사 지지 성격의 기부, ‘후원제’
『뉴스타파』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시사IN』
『미디어오늘』
『민중의소리』
『한겨레신문』
『한겨레21』
『국민TV』
표로 읽는 후원제 비교
광고 모델 변형 탈피 못한 , ‘디지털 구독’
『내일신문』
『매경e신문』, 『모바일한경』
『아웃스탠딩』
『조선비즈k』
『미디어오늘』의 ‘미오 친구’
표로 읽는 유료 구독 비교
고객 분석과 고객 니즈 중심, ‘회원제’
『중앙일보』의 ‘중앙 멤버십’
『퍼블리』
『닷페이스』
『뉴닉』
표로 읽는 회원제 비교
2. 국내 언론사 디지털 뉴스 유료화의 핵심 정리
디지털 뉴스 유료화 모델의 분류
디지털 뉴스 유료화 유형별 특징과 한계
제4장 국내 디지털 뉴스 유료화에 남겨진 과제
1. 공공 저널리즘 성격 강화
2. 개별 언론사의 책임과 나아가야 할 방향
3. 뉴스 유료화와 저널리즘 원칙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