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움과 폭력이 지배하는 세계질서에서 사랑과 구원의 세계정치는 가능한가. 이론과 현실, 정치와 문화예술을 넘나들며 쌓아온 50년 지적 연애의 결실. 하영선 서울대 명예교수가 새로운 세대에게 들려주는 세계정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우리가 가야 할 길. 한일 그리고 한중의 싸움이 일국 중심의 민족주의로 커지면 결국 더 큰 손해를 겪는 것은 우리예요. 따라서 우리는 각생이 아니라 공생을 위해 공진해야 해요.
목차
강의를 시작하며
1강 사랑의 국제정치학
1. 1960년대 세계질서의 변동
2. 적응, 저항 그리고 사랑
3. 동주와의 만남
4. 루소와의 만남
5. 자기애와 동정
6. 경쟁애의 타락 : 이성의 오용과 사회적 불평등
7. 자기애와 동정의 인간, 사회, 세계로의 복구
8. 복합세계정치학 : 사랑의 국제정치학을 향하여
2강 세계질서와 한반도의 핵무기
1. 미소 공포의 핵균형, 미중 관계 개선, 남북 7·4 공동성명
2. 미국 유학과 조지 모델스키
3. 한국의 핵개발과 박사학위 논문
4. 평화적 핵기술의 세계 확산과 한반도
5. 핵무기의 세계적 집중과 확산
6. 핵확산의 세계적 관리
7. 탈냉전 기 북핵 문제
더 읽을 거리
1. 북핵 위기 해결의 새 길 찾기
2. 김정은 신년사의 세 얼굴과 평창올림픽
3. 북한의 ‘신전략노선’과 두 정상회담: 비핵화와 체제 보장
4. 북미 정상회담이 남긴 숙제 제대로 풀기
5. 김정은 2019년 신년사와 완전 비핵화의 과제
6. 성공적인 3차 북미 정상회담이 되려면: 북한식 계산법과 미국식 계산법의 수렴
3강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1. 신냉전, 페레스트로이카, 중국의 개혁개방, 아웅산 테러
2. 다산 연구와 한국 지성사 입문
3. 한반도 전쟁 연구와 클라우제비츠
4. 한반도 평화 연구와 요한 갈퉁
5. 한반도 전쟁과 평화의 새로운 접근
4강 한국 현대 외교정책론
1. 탈냉전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 현대사
2. 냉전 연구의 갈등 : 정통론, 수정론, 탈수정론
3. 제4기 신냉전 연구와 한국 냉전 연구
4. 한국 현대사의 복합적 접근 : 국제체제, 분단체제, 국대체제
5. 한국전쟁의 발발
6. 미주 대데탕트의 성공과 남북 소데탕트의 실패
5강 현대 국제정치이론
1. 탈냉전과 국제정치이론
2. 국제정치이론 강의사
3. 『일반 국제정치학(상)』
4. 한국 국제정치학의 새 방향 모색
5. 현대 국제정치이론과 중견국
6. 복합세계정치이론 방법론
더 읽을거리
1.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방향 모색 : 국제정치학
6강 복합세계정치학
1. 탈냉전과 복합세계정치학
2. 기술혁명과 사이버 공간의 등장
3. 복합세계정치학 : 주인공, 무대, 연기의 복합화
7강 한국 외교사
1. 한국 근대 국제정치 : 제너럴셔먼호 사건에서 한일병합까지
2. 한국 근대 외교사 연구의 출발
3. 근대 한국 외교사의 이해 : 3분법에서 5분법으로
8강 한국 근대 사회과학 개념사
1. 개념과 국제정치학 : 동서양 문명의 전환과 개념사 연구
2. 한국 근대 개념사의 삼중고 : 문명 각축, 국제 정치 갈등, 국내정치 대결
3. 개념사 연구 방법론 : 내면세계의 해석학적 접근
4. 한국 개념사 연구의 세 과제 : 문명, 냉전, 미래
9강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
1. 21세기 중국의 부상과 전통 천하질서
2. 전통 천하질서의 형성과 전개
3. 복합천하질서 연구방법론 : 맹자의 이의역지 해석학
4. 복합천하질서의 역사적 전개
5.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 : 천하·근대·냉전·미래 세계질서의 복합
10강 꿈의 세계정치학
1. 21세기 세계정치 주인공의 꿈
2. 21세기 국제정치학을 위한 상상력
3. 21세기 한국 국제정치학의 꿈
4. 중견국 한국의 꿈
더 읽을거리
1. 21세기 아태 신질서 건축 : 신흥 주인공과 무대
2. 역사 속의 젊은 그들 : 19세기와 21세기
3. 조선 백자의 매력
4. 이중섭과 빈센트 반 고흐
5. 세한도와 정권의 겨울
6. G20과 스무 선재동자
7. 박물관의 국제정치
8. 옛 제국의 심장에서 새로운 천년을 꿈꾸다
9. 아시아의 다음 천년 수도는?
10. 짝퉁 세상과 맑은 인연
11. 21세기 허생의 중국 문제 풀기
12. 김옥균 묘 앞에서
13. 평양에 두고 온 발표문
14. 히로시마 여행의 회상
15. 백남준의 촛불과 네 개의 한반도 그림자
16. 매력국가 건설하기
17. 사랑에 기반 둔 경쟁사회 만들려면
11강 토크콘서트
강의를 마치며
본문의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