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1.2권 김만중의 <서포만필>. 역사, 문학, 유가, 불교, 음양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색하고 사회 현실의 문제를 연관시켜 논술한 에세이집이다. 김만중은 삶과 관계된 모든 분야에 걸쳐 스스로의 맥을 짚듯이 주체적으로 사유하고자 했기에, 그의 일생 경륜과 지적 모색이 여기에 집대성되어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서포만필서
상-1 문왕의 칭왕 사실과 무왕의 은나라 정벌 시기
상-2 주나라 태왕의 맏아들인 태백의 실상
상-3 주나라 무왕의 혁명과 혁명 이후의 사적
상-4 봉건설 비판
상-5 범증과 동공
상-6 장량의 시중(時中)
상-7 장자방과 상산사호
상-8 강후의 좌단 호령
상-9 번쾌와 여씨의 난
상-10 설공의 계책
상-11 조조와 유현덕
상-12 유현덕의 오나라 공격
상-13 조비와 사마염 등의 찬탈
상-14 사안의 처신
상-15 북위 효문제의 중국동화 정책
상-16 당태종의 고구려 침략
상-17 역사문헌의 개연적 사실 언급과 사실 기록의 미비
상-18 「도리자」라는 참요
상-19 장손무기의 간쟁
상-20 당나라 명황의 인물 평어
상-21 당나라 태종의 재평가
상-22 당나라 헌종에 대한 배도·한유의 지나친 칭송
상-23 「평회서비」의 불공정한 서술
상-24 배도의 재평가
상-25 당나라 말 군벌 이극용의 처신
상-26 망국의 군주 당나라 소종의 행적
상-27 후량의 유수기의 행적과 심리
상-28 후주 세종의 왕위 계승
상-29 『자치통감』과 『통감강목』의 미비
상-30 『통감강목』의 기신(紀信) 기록
상-31 『자치통감』의 「대풍가」누락
상-32 『통감』의 기린각 공신 관련 기록
상-33 『통감』의 북위 황제 향년 기록
상-34 『자치통감』의 우미인 기록 누락
상-35 『한서』의 개작 오류
상-36 역사서의 왜곡
상-37 제갈공명과 방통
상-38 정사 『삼국지』의 제갈량 기록
상-39 조조, 제갈량, 사마의의 용병술
상-40 당나라 태종의 논공행상
상-41 조광윤의 하동 평정 지연
상-42 제갈공명의 마속 기용
상-43 주자의 인물논평에 나타난 일종의 편파성
상-44 도교, 불교, 유교의 근본 특색과 변질
상-45 불교, 도교와 유학의 생사관
상-46 『주역』「계사전」의 작자
상-47 포저 조익의 『맹자』 구문 해석
상-48 시경 「관저」의 작중 화자
상-49 『시경』의 음시
상-50 『서경』「여형」의 육형
상-51 『효경』의 가치
상-52 계곡 장유의 격물론
상-53 『서경』과 『맹자』의 성탕 사적 왜곡
상-54 공자의 제자들이 유약을 공자처럼 섬기려 했다는 『맹자』의 기록
상-55 『논어』에서의 관중 평가
상-56 제나라 오릉중자라는 인물
상-57 『맹자』 수록의 공자 학설
상-58 『중용』의 애공문정장
상-59 맹자가 제나라의 연나라 정벌을 승인했다는 설
상-60 순(舜)이 부모에게 고하지 않고 장가들었다는 설
상-61 고수의 살인사건과 사법관 고요의 조처
상-62 주자의 등문공 폄하
상-63 「관저」의 저구
상-64 마음에 관한 논설
상-65 인심도심설
상-66 북송 명인들의 지감과 그 한계
상-67 정호와 소식의 당파성
상-68 주자의 소식 비판과 소옹의 정이 비판
상-69 왕안석의 재평가
상-70 북송 명인들의 편견과 당파성
상-71 소동파의 참월
상-72 북송과 영종의 생부 추존과 예제 개정
상-73 주자 「체협의」의 예제
상-74 제왕가의 상기 단축
상-75 주나라 성왕을 보필한 주공의 공적
상-76 역사 후퇴설 비판
상-77 하·은·주 삼대의 이상화 비판
상-78 『장자』의 고전적 가치
상-79 상산 육구연의 심학
상-80 정이와 선불교
상-81 맹자와 주자의 유연한 학문태도
상-82 주자와 육상산의 공부법
상-83 불교와 유교의 유사성
상-84 정이 문하와 선불교
상-85 주자와 선불교
상-86 가묘의 예법
상-87 정이의 초조(初祖) 제사
상-88 주자의 인물 평가에 나타난 편파성
상-89 정이·정호와 주자의 함양 공부 차이
상-90 정주학의 도통설 재론
상-91 『시경』「관저」의 작중 화자 재론
상-92 나흠순과 장유의 인심도심설
상-93 하·은·주 삼대 문화 재론
상-94 유학의 심성론과 불교의 관계
상-95 제갈공명의 학문과 실천
상-96 제갈공명의 덕행 재론
상-97 남송 명종의 즉위와 조여우·주자의 공로
상-98 공자 이후의 도통(道統)
상-99 주자의 변론하기를 좋아함
상-100 불교의 살생 금지와 유교의 인(仁)
상-101 불교의 귀신설
상-102 유교와 불교, 그리고 풍수설에 나타난 죽음의 관념
상-103 주자의 불교 게송 분석 비판
상-104 주자의 불경 비판 재고
부록 | 서포만필 인명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