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추천사
머리말_ 평등주의자들을 리버럴이라고 부르는 이유
1장 보호할 가치가 없는 표현은 없다 모욕죄, 명예훼손죄, 허위사실유포죄, 그리고 진실유포죄까지
국민이 한 말이 틀렸다고 처벌하는 나라는 대한민국뿐
명백한 허위를 보호할 가치? 규제할 이유는 무엇인가
정봉주 유죄 판결은 법적 착시현상
나도 호스트바에서 일했을 수 있다
‘사이버모욕죄’는 시대착오다
인권을 핑계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지 말라
강용석과 최효종이 다른 이유
혐오죄는 ‘혐오스러운’ 표현을 처벌하는 법이 아니다
기업정신과 소비자의 선택
검찰의 ‘최후의 말 바꾸기’도 반소비자적 발상
언소주 시즌 2도, 시장경제와 100% 부합
소비자가 안 사겠다는 것이 왜 범죄란 말인가
진실유포죄|제2의 [도가니], [부러진 화살]을 보고 싶다면
장자연리스트 실명 보도는 언론사의 의무
국민이 우매하다는 ‘위험한 전제’
진위는 중요치 않고 ‘당신’이 중요하다
2장 일기조차 마음대로 쓸 수 없다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집회 등을 둘러싼 검열
진실유포죄도 만들어내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온라인 글쓰기가 운전만큼 위험한가
남이 듣기 싫어하는 말은 30일간 하지 말라
인터넷 분야 세 가지 꼼수와 헌법재판의 한계?
사이버 망명, 법이 문제가 아니다
“우리가 모르는 무엇인가 있을 것이다”
‘음란물’이니까 대충 검증해도 된다고?
우리가 질식사하지 않는 이유
국가보안법 제7조가 SNS를 만났을 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SNS 규제는 내용 심의가 아닌 ‘친구 심의’
시민들의 집회를 불법화하는 사람들
광장과 시청은 다르다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 금지, 타당한가
선거, 그들만의 잔치
정치인이 무슨 귀족인가
SNS의 S는 ‘사회’가 아니라 ‘사교’다
시험을 치르지 않을 헌법적 권리
교과서 수정요구는 위헌
오바마의 방송정책: 내용규제 말고 소유규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공정성 심의는 코미디
심의공화국에서는 어른들도 숨 쉴 곳이 없다
3장 표현의 자유, 누가 규제할 자격이 있는가 법원, 검찰, 행정기관, 기업 등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자들의 이야기
명예훼손 형사처벌, 폐지하거나 폐지 이유를 만들지 말거나
칼은 뽑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다
[PD수첩] 수사, 거부하는 것이 법치구현
피디저널리즘과 [PD수첩] 무죄
사후 검열도 위헌이다, 경찰은 입을 다물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제도는 위헌이다
검찰, 정치적 독립성과 중립성의 의미
긴급조치시대로의 사법적 회귀, 사법개혁만이 막을 수 있다
명예롭게 묵비권을 행사할 자유
한명숙 무죄 판결이 말하는 것
시위하면 생활보조 끊는 서울시
하려면 그냥 하라 ‘설득’하려 하지 말고
기획재정부를 통한 사상통제
누구의 돈으로 누구를 세뇌하려는가
김민선 소송 논란, 누가 입을 돈으로 막으려 하는가
[부러진 화살]의 교훈, ‘알아서 하겠다’는 판사에 대한 답답함
변호사 숫자와 표현의 자유의 관계
내 소득의 반
농사꾼 이야기
4장 사생활이 보호되어야 사상의 자유가 보호된다 민간인 사찰, 인터넷 실명제, 마지막으로 민주주의
민주주의와 실명제의 관계
영장만 있으면 훔쳐가도 되나
통신비밀‘공개’법이 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네티즌은 방송사들의 잠재적 취재원이다
비밀 사찰, 우리가 막을 수 있다
누구의 친구인지를 밝혀야 한다면 사상의 자유는 없다
이메일 수사도 사상 탄압이 될 수 있다
알 권리는 타인의 사생활에 대한 알 권리가 아니다
인터넷 실명제가 낳은 신상 털기
신뢰성의 패러독스, 전자주민증
‘박지원의 제보자’ 내사의 모순
도둑들의 대화내용을 공개할 자유
진실을 밝힌 거짓말, 불법일까
정보공유지의 비극
2008~2012 칼럼 및 연구자료 출처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