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딜레탕트 곽작가의 학자들은 가르쳐주지 않는 지식인의 교양! 보카치오가 고서들을 뒤지던 수도원 장서각에서 마담 퐁파두르의 살롱, 뉴턴의 실험실, 그리고 20세기 초의 아우슈비츠까지 오늘날의 세계를 만든 생각의 거인들을 만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근대의 교양’이 필요한 이유
1부. 근대로 가는 길
‘근대(近代)’란 무슨 뜻일까요?
근대 ‘인문학’은 왜 피렌체에서 시작됐을까?
구텐베르크와 마르틴 루터의 혁명
한국 개신교는 칼뱅의 후계자
근대적 주체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
인류 역사의 황금기는 언제였을까?
2부.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 코페르니쿠스, 다윈, 프로이트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제5원소’란 무엇이었나?
프톨레마이오스의 천체 시스템
코페르니쿠스 모델의 치명적 약점
다윈과 프로이트의 혁명
3부. 계몽의 정신 : 루소와 볼테르
우주는 정교한 시계? 하나님은 시계공?
이신론과 범신론
계몽주의의 핵심은 이성에 대한 믿음
인간은 왜 불평등한가?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으나 도처에서 쇠사슬에 묶여 있다
볼테르 = 르네상스 + 종교개혁?
라이프니츠의 철학적 낙관주의와 싸우는 캉디드
리스본 대지진은 하느님의 경고?
똘레랑스의 원조는 볼테르
4부. 과학, 진보, 진리
과학과 ‘자연철학’은 어떻게 다른 것일까?
뉴튼이 만들어낸 대통일장 이론
‘진리’란 무엇인가?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명제의 치명적 약점
과학혁명과 패러다임이란 무엇인가?
5부. 인식론의 시대: 로크, 흄, 칸트
나는 나비인가, 장자인가?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걸 어떻게 아는가?
바클리, “니가 진짜로 아는 게 뭐냐?”
정신이란 게 특별한 게 아닙니다!
칸트, 회의주의로부터 인간 이성을 구하라
모르는 건 모른다고 하라
6부. 과학과 종교: 갈릴레오의 재판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방법은 같다
종교와 과학의 결정적 차이는 무엇인가?
천지창조의 정확한 시간
목성의 위성들은 메디치가 사람들
코페르니쿠스의 저서는 금서가 아니었다!
빵과 포도주가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
대세는 지동설?
갈릴레오의 쓸쓸한 말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