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 김서영의 치유하는 영화읽기
발행연도 - 2014 / 지음: 김서영 / 은행나무
-
도서관
마전도서관
-
자료실
[마전]일반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ML0000004946
-
ISBN
9788956607764
-
형태
395 p. 19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서양철학
>
독일, 오스트리아철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인문 에세이
책소개
라캉과 지젝에 대한 연구와 작업을 활발하게 해온 김서영 교수가 2007년 출간한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이 은행나무 ‘일상인문학’의 두 번째 책으로 재출간되었다. 출간 이후 7년이라는 시간의 갭을 채우고, 글과 화보를 추가하여 개정했다.
목차
2014년 서문 : 배반을 통한 복귀
들어가는 글
1. 정신분석 이야기 - 치유적인 영화읽기
한 편의 영화가 할 수 있는 일
히스테리와 강박증 : 불완전함을 위하여
상상계를 넘어서 상징계로 : 허상을 넘어서
상징계를 넘어서 실재계로 : 나보다 큰 나
융과 영화 : 신화의 힘
대극의 합일 : 그림자와 하나 되기
치유적인 영화읽기 : ‘나 괜찮니?’
용어 없이 쓰는 정신분석적 영화비평
2. 영화 이야기 - 치유적인 영화비평
김기덕의 「빈집」 : 닫힌 마음의 문을 열며
「피에타」 :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살인을 추억하는 영화 「살인의 추억」 : 그 치명적 시점화면과 방향성 없는 분노
「취화선」, 그 비극적 신비의 탄생을 위하여
잃어버린 신화를 찾아서
매트릭스론 : 우리들의 천국을 위하여
미하엘 하네케의 「피아니스트」 : 마음의 감옥을 나서며
지젝의 기묘한 서커스 : 들뢰즈를 통한 프로이트로의 복귀
햄릿과 영화 : 호레시오를 기다리며
장 콕토의 시인 삼부작 : 초현실주의와 정신분석
스타워즈의 구원을 위하여
박쥐 이야기 : 정신분석적 비평 vs 분석심리학적 비평
「데인저러스 메소드」의 치명적 오점 : 사비나 슈필라인을 기억하며
너라고 부를게 : 킨제이 보고서 vs 킨제이
진정한 보편성을 위하여 : 키클롭스의 죄
한 여자와 한 남자를 위한 기도문 : 욕망, 그 치명적 윤리학을 위하여
3. 못다한 이야기 - ‘정신분석과 영화’ 공개강연
프로이트와 융 사이에서의 선택
꽉 찬 영화와 2퍼센트 부족한 영화
로즈버드를 찾아서
사랑에 관하여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진실이란 무엇일까?
에둘러가기
난 소중하니까
변화를 위하여
부록 : 치유적인 논문 읽기
애타게 수원댁을 찾아서 : 지젝 다시 읽기
영화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2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2 |
2024년 | 0 |
2025년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