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경험의 교육적 의미와 문학 경험의 구조
제1장 경험의 재개념화와 문학교육에서의 가능성 - 문학교육에서 경험에 주목하는 까닭은 무언인가?
1. 경험이 문제를 제기하는 까닭과 배경
2. 경험 의미의 교육적 재개념화
3. 경험 질료로서 언어적 가능 세계
4. 반성적 사고를 통한 경험의 재구성
5. 경험 형성 단계에 따른 수행적 활동의 조직과 그 가능성
6. 앞으로의 과제
제2장 문학 경험의 구조와 기제 - 문학은 어떻게 경험되는가?
1. 문학 경험, 탐색의 이력과 문제의식
2. 경험 질료로서 문학의 가능성
3. 문학 경험의 구조와 기제
4. 경험적 접근의 이론화를 위하여
제Ⅱ부 고전문학 경험의 기제와 특질
제3장 고전문학 텍스트의 경험적 자질 - 고전문학 텍스트는 '경험'될 수 있는가?
1. 고전문학 경험과 <청산별곡>
2. 텍스트 의미의 국면: 추상성과 다기성에 따른 경험적 접근의 환기
3. 경험 질료의 국면: 실존적 주제의 내재에 따른 인간의 근원적 경험의 제공
4. 경험 구조의 국면: 보편성과 이질성에 따른 공감과 비판적 거리의 형성
5. 고전문학 경험의 교육적 의의와 특질
제4장 고전문학 경험의 유형과 특질 - 고전문학은 어떻게 경험되는가?
1. 고전문학 경험의 실체에 대한 의문
2. 신흠 시조에 대한 ‘경험’과 ‘교육’적 접근
3. ‘지금 여기’의 시각과 인간 이해의 심화
4. ‘그때 거기’의 시각과 인식 지평의 확장
5. 고전문학 경험의 실체에 대한 해명
제5장 고전문학과 경험적 접근, 그리고 의미의 문제 - 고전문학 텍스트의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1. 고전문학과 경험의 어색한 만남
2. ‘엇디하리’ 표현의 편재(偏在)와 의미의 자장
3. 텍스트 의미에 대한 경험적 접근
4. 고전문학의 경험적 가치와 지향
5. 고전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탐색을 위하여
제Ⅲ부 경험의 관점에 따른 고전문학교육론의 새로운 지평
제6장 가치의 경험과 문학교육론 -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내용과 문학교육의 변화
1. 안빈낙도를 살피는 까닭
2. 안빈낙도에 대한 경험교육적 접근의 의미
3. 안빈낙도 경험교육의 내용
4. 가치의 경험과 문학교육론
5. 문학교육과 가치, 그리고 경험의 접점
제7장 관념적 표현의 경험과 고전문학교육론 - 역군은 의미 세계의 경험과 고전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1. 관념적 표현과 고전문학교육의 고민
2. ‘역군은(亦君恩)’ 표현을 둘러싼 오해와 편견
3. ‘역군은(亦君恩)’의 의미 세계
4. ‘역군은(亦君恩)’ 표현의 경험
5. 관념적 표현, 기호가 아닌 세계의 문제
제Ⅳ부 고전문학 경험의 내용과 텍스트 세계
제8장 시간의 경험 - 시간성과 활성적 기억의 경험, <남정가(南征歌)>
1. 작자의 시간 경험으로 <남정가> 들여다보기
2. 역사적 사건의 활성적 기억화와 주체 경험의 관계항
3. 과거-현재-미래가 연계된 시간성
4. 개인 경험의 전경화를 통한 자기 인식과 구성원의 정체성 형성
5. <남정가>의 경험, 실재의 반영과 새로운 세계의 창조
제9장 공간의 경험 - 공간 이동에 따른 인식 확장의 경험, <북찬가(北竄歌)>
1. 공간: 유배가사에 접근하는 통로
2. 공간의 의미역과 인식틀로서 공간의 사회적 성격
3. 은거지 강화: 은거의 이면, 사회성과 정치성의 거세
4. 유배지로 가는 길: 사회성과 정치성 회복의 여정
5. 유배지 갑산: 물리적 고립·단절과 사회성·정치성의 후퇴
6. 유배가사 공간 경험의 의미
제10장 운명의 경험 - 상부와 궁핍, 그리고 개인의 성장 경험, <덴동어미화전가>
1. <덴동어미화전가>를 둘러싼 상반된 인식과 평가
2. 갈등과 문제사태의 중층성: 개인 차원의 특수성과 하층민 집단 차원의 보편성
3. 문제해결의 중층성과 불완전성: 개가의 이중성과 한계
4. 문제인식의 전환과 확장: 통과의례로서의 의미와 노래를 통한 자기 위안
5. 한 개인의 성장 노래로서 <덴동어미화전가>, 그리고 경험
제11장 늙음의 경험 - 늙음에 대한 진술과 태도의 경험, 탄로가
1. 같으면서도 다른 탄로가의 세계
2. 분석의 방법론: ‘주제’에서 인식, 대응, 정서의 ‘진술방식’으로의 전환
3. 탄로가의 인식, 대응, 정서의 진술방식
4. 탄로가 진술방식과 태도 주변의 시가사적 의미
5. 늙음이라는 불가항력적 문제에 대한 언어적 해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