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부 |근대시 정체성의 모색과 서정의 주체들|
1장 ∙ 김억의 상징주의 번역론과 근대 번역의 과제
2장 ∙ 근대서정시의 원형과 1920년대 번역시―‘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3장 ∙ 문인번역자와 한국서정시의 모색―1950년대 장만영의 시 전집 번역
4장 ∙ 근대서정시의 도전과 역사적 시학詩學 ―일제 강점기 저항시 장르와 양식
2부 |서정시의 존재론 탐구와 현대시학의 발전|
1장 ∙ 김광균의 낭만과 모던―멜랑콜리 시학
2장 ∙ 노천명의 서정과 감각―1930년대 후반 자의식과 내면탐구의 시
3장 ∙ 시인 존재론의 탐구에서 동화시에 이르는 길―백석의 후기시
4장 ∙ 정지용의 후기시와 『문장文章』―화단(畵壇)과 문단(文壇)의 교류를 중심으로
5장 ∙ 백석 시의 음식과 타자의 윤리
3부 |동아시아 문학의 장과 근대시의 방향과 과제|
1장 ∙ 1930년대 조선문화의 정체성과 로컬 ‘향토’의 상상
2장 ∙ 동아협동체東亞協同體의 논리와 조선문학의 과제―김기림과 서인식의 논의를 중심으로
3장 ∙ 1930년대 후반 ‘시인부락’의 만주행―제국과 식민지 경계의 텍스트
4장 ∙ 1940년 전후 서정주의 시적 도정道程―랭보와 릴케의 호명(呼名)과 그 의미
5장 ∙ 동아시아 삼국의 역사와 ‘윤동주’ 읽기
참고문헌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