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두
1부 「삼국유사」의 사료적 성격
「삼국유사」의 문화사적 가치 / 최광식
「삼국유사」 ‘정보’ 비판을 위한 제언 / 이강래
「삼국유사」와 중국의 잡사 / 樓正豪
2부 「삼국유사」의 고대사 인식
「삼국유사」의 고조선·삼한 인식 / 박대재
「삼국유사」를 통해 본 ‘부여’ / 박경철
「삼국유사」 소재 진성 전투와 진흥왕대의 대외관계 / 윤성호
「삼국유사」 ‘무왕’조를 통해 본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진실 / 이장웅
「삼국유사」 ‘황룡사구층탑’조에 대한 재검토와 아비의 출자 / 최희준
‘백제해적’과 ‘신라해적’ -『삼국유사』‘진성여대와 거타지’조에 보이는 해역세계- / 정순일
「삼국유사」에 보이는 군주명과 군주호 -신라 군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시노하라 히로카타
「삼국유사」 재상 기록의 이해 방향 / 박수정
「삼국유사」의 신라 중대 정치사건 이해 방법 -『삼국사기』와의 비교를 통해- / 박명호
「삼국유사」의 신라 장보고 인식 / 정운용
3부 「삼국유사」를 통해 본 불교
「삼국유사」의 고구려 불교사 서술 / 정호섭
「삼국유사」 ‘법왕금살’조의 의미 / 박현숙
「삼국유사」 속 여성의 불교적 이해 / 신선혜
「삼국유사」에 보이는 원당의 사례와 그 상징 / 박윤진
「삼국유사」 ‘전후소장사리’조 고려 예종대 불아 장래 설화의 재검토 / 이진한
4부 「삼국유사」 속의 신앙과 민속
환웅신화에 보이는 천왕의 성격 / 김도현
한국 산신신앙의 역사와 산신도의 유형 / 김영자
신라 오대산의 신앙과 의례 / 연제영
「삼국유사」와 해양신앙 / 윤재운
「삼국유사」 속 꿈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 김효경
「삼국유사」 속 축국 고찰 / 신근영
처용무의 성립과 각 지방의 관련 민속연희 및 민속 / 전경욱
「삼국유사」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축제 양상 / 백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