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개화기 창가와 신체시에서 일제 강점기에 풍미한 단편서사시, 현대시조, 60년대 풍자시, 김춘수의 개인 장르인 무의미시, 70~80년대의 포스트 모더니즘시, 그리고 북한시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시의 기본양식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목차
[1] 신체시론
1. 문투(文鬪) 형식으로서의 신체시
2. 신체시의 유형과 근대시적 징후
3. 신체시의 명칭과 효시
4. 신체시의 양식계보
5. 신체시의 형태적 특징
6. 교시성과 포에지(poésie)
7. 신체시의 성과와 한계
[2] 창가론
1. 창가의 개념과 형식
2. 창가의 형성과 전개양상
3. 육당의 창가
4. 가창(歌唱) 장르의 성격과 기능
5. 창가의 장르선택 배경
6. 창가의 시사적 의의
[3] 언문풍월론
1. 언문풍월의 기원
2. 언문풍월의 형태적 특징
3. 언문풍월의 선행양식
4. 창작계층과 문체혁신
5. 창작 및 전개양상
6. 언문풍월의 의의와 시적 가능성
[4] 자유시론
1. 근대시로서의 자유시
2. 자유시의 기점론
3. 개화기 변조체 시가와 자유시
4. 최초의 자유시, 「태백산의 四時」
5. 자유시의 요람, [학지광]
6. [청춘]의 자유시
7. 자유시 논의와 평가
[5] 산문시론
1. 산문시의 개념
2. 산문시와 자유시
3. [소년]의 산문시 수용양상
4. [학지광]의 산문시
5. [태서문예신보]의 산문시
6. [청춘]의 산문시
[6] 이야기시론
1. 이야기시의 형태적 특성
2. 이야기시의 계보
3. 서간체 및 대화체
4. 회상체 및 설화체
5. 실화체 및 우화체
6. 이야기시의 시적 가능성
[7] 민요시론
1. 민요시의 형성배경
2. 민요시의 개념
3. 민요시의 특징
4. 민요시의 시사적 의의
[8] 격조시론
1. 격조시의 장르적 성격
2. 격조시의 창작배경
3. 정형시론으로서의 격조시론
4. 격조시의 창작양상
5. 격조시의 성과와 한계
[9] 서사시론
1. 서사시의 양식계보
2. 서사시의 개념과 특성
3. 서사시의 기원과 전개
4. 한국 서사시의 창작양상
5. 「국경의 밤」과 서사시 양식론
6. 서사시의 가능성과 전망
[10] 현대시조론
1. 현대시조의 기원
2. 개화기 시조의 형태적 특징
3. 육당시조의 개신적 성격
4. 시조부흥 운동기의 시조
[11] 단편서사시론
1. 단편 서사시의 기원
2. 단편 서사시의 형태적 특성
3. 예술대중화론과 단편 서사시
4. 카프시와 단편 서사시
5. 유이민시와 단편 서사시
6. 단편 서사시의 시적 가능성
[12] 4행시론
1. 4행시의 개념과 특징
2. 1910년대의 4행시
3. 1920년대의 4행시
4. 1930년대의 4행시
5. 1940년대 이후의 4행시
6. 4행시의 시사적 의의
[13] 서정시론
1. 서정시의 기원과 개념
2. 서정시의 계보
3. 음악성의 구현
4. 언어의 경제학, 단시
5. 유기적 구조
6. 주관성, 비논리성, 순수성의 시학
[14] 초현실주의 시론
1. 다다이즘의 기원과 특징
2. 한국 시단에서의 다다이즘
3. 초현실주의 기원과 배경
4. 초현실주의 기법과 원리
5. 초현실주의의 수용과 전개
6. 초현실주의의 성과와 전망
[15] 풍물시론
1. 풍물시의 기원과 개념
2. 풍물시와 기행시
3. 1930년대의 풍물시
4. 1940년대 이후의 풍물시
5. 풍물시의 시사적 의의와 전망
[16] 무의미시론
1. 무의미시의 개념
2. 무의미시의 창작동기
3. 무의미시의 원리
4. 심상화된 무의미시
5. 음향화된 무의미시
6. 무의미시의 성과와 한계
[17] 풍자시론
1. 풍자시의 개념
2. 풍자의 역사와 전개양상
3. 송욱의 사회풍자시
4. 전영경의 인물풍자시
5. 김수영, 김지하의 정치풍자시
6. 신동문, 이상화의 정치풍자시
[18] 해체시론
1.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
2. 해체시의 형성배경
3. 소재의 텍스트화
4. 매체 개방주의
5. 주체의 죽음과 패러디
6. 반미학주의
7. 해체시의 성과와 한계
[19] 북한시론
1. 북한시의 기원과 전개양상
2. 시양식 분류기준과 개념
3. 서정시 및 서사시의 양식적 특징
4. 서사시, 서정서사시, 담시
5. 송시, 벽시, 풍자시, 철리시
6. 정론시, 풍경시, 기타
7. 북한시의 특징과 한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