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부 외교관의 한국고전학과 한국고전의 발견
제1장 설화와 고소설 번역을 통해, 한국문명을 세계에 알리다 - 미국공사 알렌, 『한국설화집』(1889) 서문
제2장 한국고소설을 통해, 한국민족문학의 부재를 논하다 - 영국외교관 애스턴, 「한국의 대중문학」(1890)
제3장 『진언집』을 통해, 한국 불교문명과 고전학의 가능성을 말하다 - 영국외교관 스콧, 「한국의 역사와 문학에 관한 만필(漫筆)」(1894)
제2부 파리의 번역가 홍종우, 그가 남긴 족적들
제1장 〈춘향전〉을 통해, 한국민족의 풍속과 생활을 소개하다 - 보엑스 형제, 〈춘향전 불역본(『향기로운 봄』)〉 서문(1892)
제2장 〈심청전〉을 통해, 한국민족의 역사를 소개하다 - 〈심청전 불역본(『다시 꽃린 마른 나무 : 꼬레 소설』)〉 서문(1895)
제3장 〈심청전 불역본〉의 반향들
제3부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고전학과 내지인의 관점
제1장 동양의 예술론을 통해 한국문학을 말하다 - 장로교선교사 게일, 「문학에 관한 편언(片言)」(1895)
제2장 한국시가의 번역불가능성을 통해, 한국시가를 말하다 - 감리교선교사 헐버트, 「한국의 시가」(1896)
제3장 한국의 속담을 통해, 동양인의 지혜와 한국인의 민속을 말하다 - 감리교선교사 헐버트, 「한국의 속담」(1897)
제4부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고전학과 한국의 고유문화
제1장 한국의 구술문화를 통해, 한국의 종교문화와 민속을 말하다 - 감리교선교사 헐버트, 「한국의 민담」(1902)
제2장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소설의 존재, 향유방식을 말하다 - 헐버트, 「한국의 소설」(1902)
제3장 「우미인가」를 통해 한국 시가의 율격을 말하다 - 장로교선교사 밀러, 「한국의 시가」(1903)
제4장 고소설 번역을 통해, 한국인의 마음을 말하다 - 게일 고소설 영역본 서발문(1917~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