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출처
참고문헌
1부 서울 마을 제당의 무신도
01 서울 마을 제당 봉안 무신도 실태
1. 머리말
2. 서울 지역 마을 제당 현황
3. 마을 제당 무신도 봉안 실태
4. 마을 제당 무신도를 바탕으로 한 몇 가지 논의 사례
02 서울 성동구 응봉동 부군당의 향방
1. 머리말
2. 응봉동 부군당 및 부군당제
3. 응봉동 부군당의 무신도
4. 응봉동 부군당의 향방과 서울 부군당의 미래
03 성동구 옥수동 부군당의 향방
1. 머리말
2. 성동구 옥수동 부군당의 전승 현황
3. 성동구 옥수동 부군당의 연원과 변화
4. 성동구 옥수동 부군당의 의미와 가치
04 동대문구 전농동 부군당의 향방
1. 머리말
2. 전농동 부군당 무신도 양상의 의미
3. 실존인물 조반의 부군신령 좌정 의미
4. 전농동 부군당의 변모
05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동빙고동 부군당의 향방
1. 머리말
2. 서빙고동, 동빙고동 부군당 무신도 봉안 실태 및 제의 양상
3. 서빙고동 동빙고동 부군당 향방의 전망
06 서울 강북 지역 부군당을 통해 본 부군당 신앙의 의미
1. 머리말
2. 강북 지역 부군당 및 봉안 무신도 실태
3. 강북 지역 부군당을 통해 본 부군당의 성격
4. 서울 이외 지역 부군당의 존재 양상
5. 부군당 신앙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2부 황해도굿의 현장
07 황해도 퇴송굿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1. 머리말
2. 퇴송굿의 절차와 구조
3. 퇴송굿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4. 퇴송굿의 의미
08 황해도굿의 무가-만세받이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황해도 무가 연행방식
3. 만세받이 무가의 내용 분석
4. 만세받이 무가로 본 굿놀이의 성격-영상할아뱜 할먐거리를 중심으로
5. 맺음말
09 황해도 진오기굿의 연행 구조-전대주 연행 진오기굿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황해도 진오기굿의 재차 구성
3. 황해도 진오기굿 개별 굿거리 구성과 연행 방식
4. 황해도 진오기굿의 연행 원리
5. 맺음말
10 황해도굿의 현재적 변화상과 전망
1. 머리말
2. 황해도굿의 두 향방
3. 황해도굿 구조의 고정성 탐구
4. 황해도굿에서 장구재비 역할의 감소
5. 생각할 문제들
3부 지역 무속의 세계
11 인천 굿의 양상과 특징, 그리고 변화
1. 머리말
2. 인천 내륙굿의 양상과 특성
3. 인천 해안굿의 양상과 변화
4. 화랭이 무속의 소멸
5. 인천굿의 변화상과 의미
6. 맺음말
12 서해안 풍어굿의 분포, 양상과 특징
1. 머리말
2. 서해안 풍어굿의 분포
3. 서해안풍어굿의 양상과 특징
4. 한국 무속의 한 권역으로 서해안 풍어굿의 기반
5. 맺음말
13 1955년 연행 평양 다리굿 자료의 내용 및 가치
1. 머리말
2. 자료의 구성 및 조사 경위
3. 잔상굿, 다리굿의 재차 구성 및 서울 다리굿과의 비교
4. 평양 다리굿 자료의 가치와 의의
14 강화 교동도 부군당과 사신당의 현장
1. 머리말
2. 강화 교동도 부군당과 연산군
3. 강화 교동도 사신당
4. 강화 교동도 부군당과 사신당의 현대적 계승
5. 맺음말
15 서울굿 오방신장기의 연원과 향방
1. 머리말
2. 오방신장기의 연행 양상
3. 신장거리의 연원과 오방신장기
4. 오방신장기의 확산과 의미
16 서울 강서구 마을굿의 존재 양상과 의미
1. 머리말
2. 강서구 마을굿의 전승 양상
3. 강서구 마을굿의 특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