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자료들을 수집.가공하여 유형별 유휴.방치부동산의 발생량을 간편하고 적실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법, 제도, 정책 및 사례들을 폭넓게 고찰하고, 다양한 사진과 이미지들을 제공하여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하였다.
목차
1장 인구감소와 기후변화 시대의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1. 도시 쇠퇴에 따른 도시재생 정책 및 전략 2. 도시축소·기후변화 시대의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2장 인구감소도시의 유휴·방치부동산 발생 실태와 촉발 요인 1. 유휴·방치부동산의 개념과 유형화 2. 유형별 유휴·방치부동산의 발생 실태와 공간 분포 3. 유휴·방치부동산의 발생을 이끄는 촉발 요인
3장 유휴·방치부동산의 새로운 도시재생 디자인 1. 기존의 도시, 무엇이 문제인가? 2. 패러다임의 전환: 채움에서 비움으로, 포괄적 상생 3. 유휴·방치부동산 밀집지구에 대한 도시재생 디자인 적용
4장 유휴·방치부동산의 녹지화를 통한 생태계서비스 증진 1. 도시녹지의 생태계서비스 개념 및 서비스 제공 사례 2. 미국의 유휴·방치부동산에 대한 녹지화 정책 3. 녹지화를 통한 유휴·방치부동산의 생태계서비스 증진 방안
5장 유휴?방치부동산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생산 및 기후변화 대응 1.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국가별 정책 2. 유휴?방치부동산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사례 3. 사례지의 재생에너지 생산량과 온실가스 감축효과 시뮬레이션
6장 해외 유휴·방치부동산 관련 법령 및 정책 1. 미국의 유휴·방치부동산 관련 법령 및 정책 2. 일본의 유휴·방치부동산 관련 법령 및 정책 3. 영국의 유휴·방치부동산 관련 법령 및 정책 4. EU의 순환적 토지이용관리 정책
7장 국내 유휴·방치부동산 활용과 관련된 법령 및 정책 1. 주거 유휴·방치부동산 활용과 관련된 법령 및 정책 2. 상업·복합 유휴·방치부동산 활용과 관련된 법령 및 정책 3. 산업 유휴·방치부동산 활용과 관련된 법령 및 정책 4. 공공 유휴·방치부동산 활용과 관련된 법령 및 정책
8장 유휴·방치부동산 재활용을 위한 새로운 도시재생 방안 모색 1. 인구감소·기후변화 시대의 유휴·방치부동산에 대한 재인식 2. ‘유휴·방치부동산 살릴 길 찾기’를 위한 제도적 기반과 새로운 전략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걸어다닐 수 있는 도시 : 부와 건강, 지속가능성에 대한 해답2015 / 지음: 제프 스펙, 옮김: 박혜인 / 마티
소프트 시티: 사람을 위한 일상의 밀도, 다양성, 근접성2020 / 지음: 데이비드 심; 옮김: 김진엽 / 차밍시티
분당에서 세종까지 : 대한민국 도시설계의 역사를 쓰다 2020 / 지음: 안건혁 / 한울아카데미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2015 / 지음: 유현준 / 을유문화사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2015 / 지음: 유현준 / 을유문화사
도시의 재구성 : 쉼 없이 진화하는 도시 르포르타주2017 / 지음: 음성원 / 이데아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역세권 개발론 2022 / 지음: 이승일 / 커뮤니케이션북스
인구감소·기후변화 시대의 공지의 재발견 : 유후·방치부동산 살릴 길 찾다2017 / 지음: 이희연, 권영상, 이동근, 전의찬 / 문우사
천천히 재생 : 공간을 넘어 삶을 바꾸는 도시 재생 이야기2019 / 지음: 정석 / 메디치미디어
Sitescape : 도시·건축·사람을 위한 사이트 디자인 2022 / 지음: 정재희 / 대가
100년 후의 도시를 설계하라 : 댈러스, 시카고, 뉴욕 그리고 서울2019 / 지음: 조재성 / 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