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 사회와 문학의 접점을 꾸준하게 연구해온 나병철 교수의 책. 이 책에서 저자는 미래를 상실한 지금, 다른 방식의 미래를 말할 시점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모두가 똑같이 부유함과 일류의 삶을 꿈꾸는 이미 정해진 미래가 아닌, 타자와 교섭하며 정신의 식민화에서 벗어나려는 또 다른 길을 찾는 미래가 바로 그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제1장 보이지 않는 정치의 귀환
1. 길 없는 길 - 미래 이후의 미래
2. ‘길 없는 길’의 행위자로서 특이성과 보이지 않는 타자
3. 삶권력과 죽음정치 - 유혹의 권력의 두 얼굴
4. 절망을 껴안고 권력과 동거하기 - 절망과 저항의 양가성
5. 벌거벗은 생명과 벌거벗은 타자
6. 저항을 위한 교섭의 위치로서의 벌거벗은 타자
7. 죽음정치의 시대와 타자를 향한 ‘포말의 의지’
8. 죽음정치와 죽음정치적 노동
9. 존재론적 정치와 에로스 효과로서의 민중봉기
10. 아직 끝난 게 아니다 - 공감의 유전자와 원효의 존재의 비밀

제2장 유혹의 권력과 죽음정치에 대한 존재론적 대응
1. 유혹의 권력과 신자유주의
2. 유혹의 권력 시대의 죽음정치
3. 쇼크 독트린에 대응하는 트라우마의 기억
4. 쾌락원칙을 넘어서는 양가성의 진리
5. 죽음정치와 낯선 두려움, 그리고 식민지의 유민
6. 식민지적 죽음정치와 기민으로서의 이주노동자
7. 국가서사의 허구성을 파열시키는 기민/난민의 트라우마의 기억
8. 트라우마의 기억과 에로스의 기억, 그리고 순수기억
9. 죽음정치의 역사와 디세미네이션의 미학

제3장 식민지 시대의 유민의 발생과 은유로서의 디세미네이션
1. 1920년대의 유민의 발생과 디세미네이션
2. 식민지 민족의 양가성과 디세미네이션의 미학
3. 집단적 민중의 움직임과 산포된 존재의 네트워크
4. 식민지 근대에 대항하는 디세미네이션의 미학

제4장 산업화 시대의 내부의 유민과 디세미네이션의 미학
1. 개발주의 시대의 유민과 내부의 디아스포라
2. 전태일의 존재론적 저항 - ‘낯선 두려움’에서 ‘마음의 고향’으로
3. 은밀성의 영역의 난민과 유민화된 민중
4. 죽음정치적 노동자들의 연대와 존재론적 대응
5. 집을 잃은 사람들의 낯선 두려움과 벌거벗은 타자
6.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죽음정치와 존재론적 대응으로서의 디세미네이션의 연대

제5장 삶권력과 자본주의의 존재론적 운동
1. 삶권력과 죽음정치의 관계와 무의식
2. 자본의 자기갱신운동과 삶권력
3. ‘은유로서의 화폐’의 무의식과 ‘은유로서의 네이션’의 무의식
4. 〈운수 좋은 날〉과 두 개의 무의식 - 타자의 위치에서의 동요
5. 《삼대》의 대화적 무의식과 주체의 동요
6. 《환영》에 나타난 감정과 성의 상품화 - 후기자본주의의 《자본론》

제6장 삶권력과 죽음정치에 대항하는 순수기억의 창조적 존재론
1. 무의식에 작용하는 삶권력과 순수기억의 대응
2. 습관기억의 억압과 순수기억의 혁명 -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3. 화폐의 무의식과 순수기억의 무의식
4. 식민지의 죽음정치에 대한 순수기억의 대응 - 백석의 시
5. 순수기억의 시간과 영화 - 김기덕의 《빈집》
6. 잉여향락의 공간과 순수기억의 시간 - 김기덕의 《시간》
7. 순수기억의 정치화
8. 순수기억과 상처의 기억
9. 베르그송의 순수기억과 라캉의 대상 a
10. 잃어버린 ‘순수기억’을 찾아서 - 권여선의 《레가토》

제7장 유혹의 권력과 미래 이후의 미학
1. 유혹의 권력과 낯선 두려움
2. 규율사회에서 유혹사회로
3. 자본의 가속도와 유혹의 권력 - 송경아의 〈엘리베이터〉
4. 유혹사회의 공간적 폐쇄성 - 배수아의 우울의 미학
5. 성장 없는 성장소설과 죽음정치에 대한 ‘슬픈 응수’
6. 배수아 소설에 암시된 유혹사회 속의 죽음정치
7. 유동체에 대한 열망과 은유 - 베르그송과 마르크스, 그리고 원효
8. 유동체의 회복 - 춤과 참선
9. 선시와 리얼리즘의 결합 - 송경동의 시
10. 부서진 디세미네이션과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11. 구조화된 불평등성과 감성의 분할, 그리고 혐오발화
12. 혐오발화와 ‘계급적 인종’
13. 혐오의 은유와 미학의 은유
14. 물밑에 있는 타자와 은유로서의 정치
15. 길 없는 길과 미학적 은유
16. 분노의 계보학
17. 길 없는 길과 미래 이후의 미학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신은경의)차차차! : Challenge, Chance, Change (신은경의)차차차! : Challenge, Chance, Change 2016 / 지음: 신은경 / 클라우드나인
시로 엮은 내 사랑을 받아주오 = đon nhan tinh yeu cua toi đuoc tet bang tho 시로 엮은 내 사랑을 받아주오 = đon nhan tinh yeu cua toi đuoc tet bang tho 2018 / 지음: 보리수아래 / 백산출판사
어머니나라 : 한국 입양인과 미혼모들의 시선집 = (The)motherland : an anthology of poems written by Korea adoptees & Korean unwed mothers 어머니나라 : 한국 입양인과 미혼모들의 시선집 = (The)motherland : an anthology of poems written by Korea adoptees & Korean unwed mothers 2018 / 지음: 로라 왁스 엮음 ; 옮김: 조병준, 이범 / 토담미디어
서리맞은 단풍잎, 봄꽃보다 붉어라 : 유병례 교수와 함께하는 시니어 한시 산책 서리맞은 단풍잎, 봄꽃보다 붉어라 : 유병례 교수와 함께하는 시니어 한시 산책 2017 / 지음: 유병례 / 뿌리와이파리
실향의 노래 실향의 노래 2016 / 지음: 조동일 / 내마음의바다
문학하는 마음: 문학하는 마음: "나에 대해 계속 알아가는 느낌이 들어요" : 김필균 인터뷰집 2019 / 지음: 김필균 / 제철소
문학의 도道를 찾아서 문학의 도道를 찾아서 2016 / 지음: 김현창 / 동서문화사
미래 이후의 미학 : 유혹사회에서의 보이지 않는 정치와 문학 미래 이후의 미학 : 유혹사회에서의 보이지 않는 정치와 문학 2016 / 지음: 나병철 / 문예출판사
우리가 알아야 할 최소한의 세계 문학: 톨스토이부터 하루키까지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10가지의 시선 우리가 알아야 할 최소한의 세계 문학: 톨스토이부터 하루키까지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10가지의 시선 2014 / 지음: 오은하, 이병훈, 권혁준, 최영진, 우석균, 김현균, 김응교, 김태성, 김재용, 이석호, 엮음: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 / 매일경제신문사
작은 것이 아름답다: 시, 깊고 넓게 겹쳐 읽기 작은 것이 아름답다: 시, 깊고 넓게 겹쳐 읽기 2019 / 지음: 유종호 / 민음사
(임헌영의)유럽문학기행 (임헌영의)유럽문학기행 2019 / 지음: 임헌영 / 역사비평사
매혹의 문화, 유혹의 인간 = Fascinating culture and seductive human being 매혹의 문화, 유혹의 인간 = Fascinating culture and seductive human being 2017 / 지음: 정해성 / 푸른사상
문학사는 어디로 문학사는 어디로 2016 / 지음: 조동일 / 지식산업사
이것이 나의 도끼다 : 소설가들이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이것이 나의 도끼다 : 소설가들이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2017 / 지음: Axt 편집부 / 은행나무
위험한 책읽기 : 세상을 이해하는 '깊고 꼼꼼한 읽기'의 힘 위험한 책읽기 : 세상을 이해하는 '깊고 꼼꼼한 읽기'의 힘 2019 / 지음: 로버트 P. 왁슬러, 옮김: 김민영, 노동욱, 양지하 / 문학사상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 2015 / 윤성근 지음 / my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 2019 / 지은이: 김지은 / 문학동네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2014 / 지은이: 이동진 ; 김중혁 / 예담
나는 오늘도 하드보일드를 읽는다 나는 오늘도 하드보일드를 읽는다 2015 / 김봉석 지음 / 예담(위즈덤하우스)
나와 청소년문학 20년 : 청소년문학의 개척자 박상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나와 청소년문학 20년 : 청소년문학의 개척자 박상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2016 / 지음: 박상률 / 학교도서관저널
다시 동화를 읽는다면 : 우리 시대 탐서가들의 세계 명작 다시 읽기 다시 동화를 읽는다면 : 우리 시대 탐서가들의 세계 명작 다시 읽기 2014 / 지음: 고민정, 김응교, 김진애, 안미란, 황경신, 류동민, 이정모, 홍한별, 우석훈, 오영욱, 안소영, 김혜리, 정혜윤, 고민정, 권오준, 김용언, 장석준, 이용훈 / 반비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 2017 / 지음: 김지은 / 창비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2018 / 지음: 정영목 / 문학동네
너는 다시 태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 이슬아 서평집 너는 다시 태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 이슬아 서평집 2019 / 지음: 이슬아 / 헤엄출판사
松江 詩의 言語 : 컴퓨터 처리에 의한 詩歌 用例 索引 硏究 松江 詩의 言語 : 컴퓨터 처리에 의한 詩歌 用例 索引 硏究 1993 / 金興圭 著 / 고려대학교 출판부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 : 세계의 소설론과 미학의 쟁점들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 : 세계의 소설론과 미학의 쟁점들 2015 / 김경식 ; 윤정임 ; 변현태 ; 김수환 ; 김성호 ; 황정아 ; 김영희 ; 유희석 지음 ; 황정아 엮음 / 창비
그렇게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 : 위대한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숨은 뒷이야기 그렇게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 : 위대한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숨은 뒷이야기 2012 / 지음: 실리어 블루 존슨 ; 옮김: 신선해 / 지식채널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 나의 읽기, 당신의 읽기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 나의 읽기, 당신의 읽기 2013 / 황석영 외 지음 / 문학동네
이것이 나의 도끼다 : 소설가들이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이것이 나의 도끼다 : 소설가들이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2017 / 지음: Axt 편집부 / 은행나무
무엇보다 소설을 : 더 깊게, 더 짙게, 혼자만을 위한 지독한 독서 무엇보다 소설을 : 더 깊게, 더 짙게, 혼자만을 위한 지독한 독서 2017 / 함정임 글·사진 / 예담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