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들어가며
리쾨르의 저서 약어 표기
1부 현대 해석학과 폴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
1장 폴 리쾨르의 삶과 지적 여정
1. 폴 리쾨르, 그는 누구인가
2. 리쾨르의 지적 여정: ‘할 수 있는 인간’을 위하여
2장 해석학의 전통과 현대 해석학의 과제
1. 해석학의 기원과 역사
2. 이해의 일반 이론: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
3. 해석학의 존재론적 전회: 하이데거
4. 진리와 방법: 가다머
5. 신뢰의 해석학과 의혹의 해석학 사이에서
3장 의지의 철학에서 의지의 시학으로: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
1. 세 가지 철학 전통: 반성철학, 현상학, 해석학
2. 의지의 현상학: 『의지의 철학Ⅰ』
3. 현상학의 해석학적 전회: 『의지의 철학Ⅱ』
4. 주체의 고고학과 목적론의 변증법: 『해석에 대하여』
5. 은유의 의미론과 존재론: 『살아 있는 은유』
6. 시간, 이야기, 역사: 『시간과 이야기』
7. 이야기 정체성과 의지의 시학: 『남처럼 자기 자신』
8. 사회적 상상에 관하여: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9. 역사 인식의 해석학: 『기억, 역사, 망각』
2부 문학 텍스트의 해석학을 위하여
1장 해석학과 언어
1. 로고스, 언어의 존재론
2. 기호론과 의미론의 대립을 넘어
3. 말, 뜻, 삶: 텍스트 해석학
4. 번역, 언어적 환대
2장 상징과 은유
1. 상징의 구조 의미론
2. 은유의 의미론적 혁신
3. 상징에서 은유로, 은유에서 상징으로
3장 시간과 이야기
1. 시간성의 아포리아와 이야기의 시학
2. 역사와 허구의 교차, 그리고 인간의 시간
3. 이야기, ‘시간의 파수꾼’
4장 이야기, 미메시스
1. 미메시스의 해석학
2. 삼중의 미메시스
3. 재현의 패러다임: 침전과 혁신의 변증법적 유희
5장 이야기와 자기 해석학
1. 이야기와 자기 이해
2. 이야기의 시학에서 이야기의 윤리학으로
3부 해석학과 문학 연구
1장 해석학과 문학 이론과 쟁점들
1. 문학, 이론의 위기
2. 문학, 이론과 상식
3. 수사학, 시학, 해석학
4. 문학, 미적 경험과 예술적 진리
2장 구조주의와 해석학
1. 구조와 역사: 리쾨르와 레비-스트로스의 논쟁
2. 서사학과 해석학
3. 허구 이야기와 시간에 관한 상상의 변주: 시간에 관한 세 소설
3장 정신분석학과 해석학
1. 욕망의 의미론과 상징해석학
2. 꿈 이야기와 문학 이야기
3. 꿈과 예술, 욕망의 승화
4. 욕망과 삶, 그리고 이야기
참고문헌
찾아보기(개념)
찾아보기(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