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늘날 세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생태관념과 생태철학, 생태예술을 다루고 있어 매우 중요한 현실적인 의의가 있다. 유·불·도의 전통적 생태관이 사회생태와 자연생태, 그리고 정신생태 이 세 가지 층위에서 중국 고대 생태문명을 구축해왔음을 지적했다.
목차
역자서문
서론 논쟁이 무성한 연구 영역
제1절 생태
제2절 생태학
제3절 생태미학
제1장 일종의 새로운 생태 세계관
제1절 생태관 형성의 현실적 기초
제2절 생태학 형성의 이론적 배경
제3절 생태학의 발전 과정
제2장 유가의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
제1절 인륜적 시각에서 본 유기적 총체론
제2절 ‘약식 인류 중심’의 생태적 윤리관
제3절 도덕지상(道德至上)의 예술적 추구
제4절 유가의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의 한계
제3장 도가의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
제1절 우주 시야의 유기적인 총체론
제2절 ‘비인간 중심’의 생태 윤리관
제3절 자연지상의 예술적 추구
제4절 도가의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의 한계
제4장 불가의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
제1절 불가의 세 가지 시야와 유기총체론
제2절 ‘생태 중심’의 윤리관
제3절 공환상즉(空幻相即)의 예술관
제4절 불가의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의 한계
제5장 세 가지 생태적 지혜와 예술적 추구에 대한 비교
제1절 유·불·도가 중국 문화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제2절 유·불·도가 중국 생태 관념에 미친 영향
제3절 세 가지 예술적 추구의 상호 보완성
부록 불가와 불교
제1절 ‘무아’의 주체성 해체에서 ‘윤회’의 주체성 회귀로
제2절 무기탁의 ‘열반’에서 기탁의 ‘정토’로
제3절 각자(覺者)의 교훈에서 우상의 숭배로
참고문헌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