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주이민의 국책문학과 이데올로기 : 근대 동아시아의 제국, 식민지, 이동
발행연도 - 2018 / 지음: 안지나 / 소명출판
-
도서관
청라호수도서관
-
자료실
[청라호수]보존서고2 (일반도서)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L0000064180
-
ISBN
9791159053047
-
형태
713p. 24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일본문학 및 기타 아시아문학
>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930년대부터 1945년 패전까지, 문학자들이 일본인 농민의 만주이민정책을 장려하기 위해 창작한 문학작품을 치밀하게 연구한 책이다. 기존의 일본문학사에서는 '식민지문학', '대륙문학'으로서 소외되었던 만주이민에 관한 문학을 일본문학의 일부로서, 그리고 이민문학으로서 재조명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장 팽창하는 제국의 문학
1. 만주이민의 국책문학
2.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의의
3. 방법과 구성
제1장 국책문학의 모순과 균열
1. 국책단체의 형성과 전개
2. 농민문학간화회와 국책협력의 논리
3. 대륙개척문예간화회와 만주이민 정책
4. 국책단체의 ‘월경’
제2장 제국의 이데올로기와 만주 건국
1. 관동군의 만몽영유론과 만주이민구상
2. 만주청년연맹과 민족협화
3. 다치바나 시라키와 왕도
4. 건국이념의 배제와 ‘팔굉일우’
5. 만주국의 잔조
제3장 조선인의 만주이민과 제국-장혁주『개간』
1. 식민지 작가와 완바오산사건
2. 조선 농촌 사회 재구축의 꿈
3. 수전 개발의 이중성
4. ‘거류민 보호’의 모순과 한계
5. ‘제국신민’과 민족
제4장 무장이민의 역설-유아사 가츠에 「선구이민」
1. 일본인 이민자와 투룽산사건
2. 무장이민의 개척과 정복
3. 보호와 토벌의 경계
4. 투룽산사건과 「선구이민」의 결말
제5장 ‘포섭’과 ‘배제’의 만주이민-우치키 무라지 『빛을 만드는 사람들』
1. 농민문학과 낭만적인 ‘만주개척’
2. 무장이민의 ‘개척’과 정복
3. ‘대륙의 신부’와 여성이민의 가치
4. ‘일만친선’과 혼혈아
제6장 농촌 문제의 해결에서 전쟁 수행으로-와다 덴 『오히나타 마을』과 도쿠나가 스나오 「선견대」
1. 분촌이민과 농민문학의 합리성
2. 일본인 이민자의 우수성과 정신질환-도쿠나가 스나오 「선견대」
3. 일본농민문학의 균열과 모순-와다 덴 『오히나타 마을』
종장 국책문학의 한계와 가능성
후기
참고문헌
초출일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