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에 머물면서 울릉도.독도 바다의 해양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 김윤배 박사를 비롯해 울릉도.독도의 해양 환경과 해양 생물 연구자인 민원기.명정구 박사가 펴낸 책이다.
목차
여는 글
01 울릉도·독도의 해양 환경 울릉도·독도의 해양 지리적 특징 울릉도·독도의 바람과 파도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며 용승하는 울릉도·독도 바다 울릉도·독도 바다의 사계절 급변하는 울릉도·독도 바다 환경
02 울릉도·독도 바다를 유영하는 생물 울릉도 100년의 먹거리, 오징어 울릉도·독도의 잃어버린 해양 생물, 바다사자 독도 바다의 터줏대감, 혹돔 크리스마스 전후로 가장 맛이 드는 여름철 대표 어종, 방어 독도로 향하는 울릉도 어민들의 소득원, 문어 울릉도·독도의 정착성·회유성 어류
03 울릉도·독도 바다의 저서생물 익숙한 울릉도·독도의 해양 생물 울릉도·독도 특산 바닷말류, 대황 울릉도·독도의 역사를 간직한 미역 삿갓조개류(속칭 따개비) 홍합 독도새우 울릉도·독도의 해양보호생물 유착나무돌산호 거머리말 해송류 울릉도·독도의 화려하고 예쁜 생물들 산호류 갯민숭달팽이류
04 울릉도·독도 바다의 보전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 울릉도 울릉도·독도 바다 사막화, 갯녹음을 막아라 울릉도·독도 바다의 보전을 위한 우리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