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1부 사회인문학의 방법과 관점
01 _ 사회인문학의 방법과 태도 / 백영서
1. 나는 왜?
2. 남들은 뭐라 했나?
3. 우리는 무엇을 해왔나?
4. 이제 어디로?
02 _ 사회인문학의 이중적 성찰 / 나종석
1. 사회인문학으로서의 대동민주 유학에 이르는 길
2. 전통의 탈식민성과 서구 중심주의의 상대화
3. 전통에 대한 인식 전환, 인본주의의 내적 분기와 대동적 민본주의의 출현
4. 한국사회에서의 민본주의와 민주주의 만남
5. 글을 맺으며
03 _ 비판적 한반도학 - 분단의 사회인문학적 사유 / 김성보
1. 들어가는 말
2. 열린 장소로서 한반도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3. 1987년 이후 한국사회의 민족 정체성, 민족주의 지형의 변화
4. 이중적 분단의 인문학적 사유
5. 나가며
2부 사회인문학의 전개와 전망
04 _ 글쓰기는 사회 변화를 위한 실천이 될 수 있는가 / 최기숙
사회인문학이라는 인문학 실험을 되돌아보며
학제간 연구라는 가능성과 장벽
행위 본질에 대한 성찰적 공감대, 저항 장력의 버팀목
학문과 사회의 소통을 위한 전제 조건 : 사람, 제도, 실천
지식의 권력화에 대한 성찰과 인문학의 자기구제에 대한 경계
비판적 분석으로부터 성찰적 실천으로
글쓰기는 사회적 실천이 될 수 있는가
쓰기 형식의 자율성에 대한 실험과 탐색
쓰기 형식의 다양성은 왜 중요한가
감성 연구로의 전환 : 감성 연구는 성찰 연구다
감성 교육의 현실화, 인격적 만남을 위한 제언
공부하는 몸, 사회화하는 신체
05 _ 사상사 연구의 동서 대화와 탈서구화 / 조경란
1. 들어가기
2.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 그리고 인권
3. 유학과 현대 사회 -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동아시아적 재조명
4. 다른 근대의 길을 가능한가
5. 맺는 말
06 _ 학술사 연구하기 / 신주백
1. 학술사 연구의 성과
2. 용례 : 학술사, 학문사
3. 문사철의 역사에 관한 분석과 학술사
3부 사회인문학의 역사와 전망
07 _ 동아시아의 주권의 신화와 정치 주체 / 김항
1. 상황 : 동아시아의 주권, 국가, 국민
2. 근데 정치체제와 주권의 신화
3. 근대 일본과 주권의 내적 균열
4. 한반도와 주권이란 허위
5. 동아시아에서의 정치 주체 형성의 (불)가능성
08 _ 집으로 돌아가기 _ 귀환이주여성과 아동에 대한 초국가적 사유를 위해 / 김현미
1. 들어가는 말
2. 왜 귀환하는가?
3. 결혼이주여성의 법적 비존재성
4. ‘실패한 이주자’로서의 사회적 낙인
5. 초국적 양육 가능성
6. 결론
09 _ 집회와 깃발 / 이기훈
머리말 - 깃발을 든다는 것
1. 조선시대의 깃발
2. 민족주의 정치 주체의 형성과 태극기
3. 붉은 깃발의 등장과 확산
4. 넘쳐나는 깃발, 사라진 깃발 - 해방 공간의 깃발과 변화
5. 민주화운동의 깃발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