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풍석 서유구 연구. 下
  • 풍석 서유구 연구. 下

    발행연도 - 2014-2015 / 조창록, 김문식, 염정섭, 박권수, 김호, 김왕직, 이민주, 송지원, 문석윤, 이봉규 저 ; 실시학사 편 / 사람의무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47515
    • ISBN 9791155501375
    • 형태 419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한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한국철학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 열 번째 책.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이라 불리는 <임원경제지>의 저자 풍석 서유구가 건축.복식.음악.양생.예학 분야에서 구축해놓은 학문적 성취에 대해 다섯 명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간행사·實學硏究叢書를 펴내며
이 책을 내면서

「贍用志」를 통해 본 楓石의 건축론 / 김왕직
1. 서론
2. 배치와 평면 형식
3. 건물의 비례
4. 지붕잇기
5. 온돌 제도
6. 창호 제도
7. 결론

楓石의 복식 분류와 ‘鄕居養志’ / 이민주
Ⅰ. 머리말
Ⅱ. 경화세족(京華世族)으로서의 서유구 집안
Ⅲ. 17~18세기 의생활 문화
Ⅳ. 서유구의 복식 분류
Ⅴ. 서유구와 향거양지
Ⅵ. 맺음말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음악 생활 / 송지원
1. 머리말
2. 조선 후기 문인 지식층의 음악 활동
3. 「유예지」와 조선 후기 음악
4. 「이운지」와 임원(林園)의 음악 생활
5. 맺음말

楓石 徐有榘「葆養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문석윤
1. 서론
2. 「보양지」 목차 구성에 나타난 기본 구조와 성격
3. 「보양지」 인용 문헌 분석 : 주요 인용 서목(引用書目)과 인용 빈도
4. 『수양총서(壽養叢書)』와의 관련성 문제
5. 「보양지」 형성 과정의 재구성
6. 풍석의 안설(按說)에 대한 분석
7. 「보양지」 편성의 특징
8. 맺음말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禮學과 經濟觀 / 이봉규
1. 서론
2. 서유구 예학의 연원
3. 「향례지(鄕禮志)」의 예식 내용과 특성
4. 「예규지(倪圭志)」의 경제관과 실학적 특색
5. 맺음말

『풍석 서유구 연구(하)』 집담회

부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김육 평전 : 대동법을 완성한 조선 최고의 개혁가 김육 평전 : 대동법을 완성한 조선 최고의 개혁가 2020 / 지음: 이헌창 / 민음사
북학의: 시대와 민생을 걱정한 선비의 꿈: [청소년] 북학의: 시대와 민생을 걱정한 선비의 꿈: [청소년] 2021 / 지음: 박제가; 주해: 마현준 / 풀빛
연암 평전  = Critical biography of Yeon-am Park Ji-won 연암 평전 = Critical biography of Yeon-am Park Ji-won 2019 / 지음: 간호윤 / 소명출판
북학의를 읽다 : 조선의 이용후생 사상과 박제가를 공부하는 첫걸음 북학의를 읽다 : 조선의 이용후생 사상과 박제가를 공부하는 첫걸음 2019 / 지음: 설흔 / 유유
북학의를 읽다 : 조선의 이용후생 사상과 박제가를 공부하는 첫걸음 북학의를 읽다 : 조선의 이용후생 사상과 박제가를 공부하는 첫걸음 2019 / 지음: 설흔 / 유유
청령국지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 인문 지리학 청령국지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 인문 지리학 2017 / 저: 이덕무 ; 역해: 박상휘 ; 박희수 / 아카넷
청령국지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 인문 지리학 청령국지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 인문 지리학 2017 / 저: 이덕무 ; 역해: 박상휘 ; 박희수 / 아카넷
풍석 서유구 연구. 下 풍석 서유구 연구. 下 2014 / 조창록, 김문식, 염정섭, 박권수, 김호, 김왕직, 이민주, 송지원, 문석윤, 이봉규 저 ; 실시학사 편 / 사람의무늬
(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 간서치 이덕무와 그의 벗들이 들려주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내면 풍경 (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 간서치 이덕무와 그의 벗들이 들려주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내면 풍경 2016 / 지음: 한정주 / 다산호당
의산문답 :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의산문답 :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2019 / 지음: 홍대용 ; 역해: 문중양 / 아카넷
의산문답: 소통으로 향하는 끝없는 질문과 대답: [청소년] 의산문답: 소통으로 향하는 끝없는 질문과 대답: [청소년] 2015 / 지음: 홍대용; 주해: 이종란 / 풀빛
환재 박규수 연구 환재 박규수 연구 2018 / 저: 임형택 ; 신로사 ; 오상학 ; 김용태 ; 김명호 ; 김흥수 ; 편: 실시학사 / 학자원
기측체의: 기 철학과 서양 과학의 행복한 만남: [청소년] 기측체의: 기 철학과 서양 과학의 행복한 만남: [청소년] 2012 / 지음: 최한기; 주해: 이종란 / 풀빛
운화측험 운화측험 2014 / 최한기 지음 ; 이종란 옮김 / 한길사
운화측험 운화측험 2014 / 최한기 지음 ; 이종란 옮김 / 한길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밥상 위의 한국사 밥상 위의 한국사 2017 / 민병덕 지음 / 책이있는마을
꾸밈의 한국사  : 미처 알지 못했던 꾸밀 거리에 담긴 역사 이야기 꾸밈의 한국사 : 미처 알지 못했던 꾸밀 거리에 담긴 역사 이야기 2018 / 지은이: 민병덕 / 책이있는마을
문체반정 나는 이렇게 본다 문체반정 나는 이렇게 본다 2012 / 김용심 글 / 보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기호유학 연구 기호유학 연구 2009 / 황의동 지음 / 서광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1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