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實學硏究叢書를 펴내며
이 책을 내면서
「贍用志」를 통해 본 楓石의 건축론 / 김왕직
1. 서론
2. 배치와 평면 형식
3. 건물의 비례
4. 지붕잇기
5. 온돌 제도
6. 창호 제도
7. 결론
楓石의 복식 분류와 ‘鄕居養志’ / 이민주
Ⅰ. 머리말
Ⅱ. 경화세족(京華世族)으로서의 서유구 집안
Ⅲ. 17~18세기 의생활 문화
Ⅳ. 서유구의 복식 분류
Ⅴ. 서유구와 향거양지
Ⅵ. 맺음말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음악 생활 / 송지원
1. 머리말
2. 조선 후기 문인 지식층의 음악 활동
3. 「유예지」와 조선 후기 음악
4. 「이운지」와 임원(林園)의 음악 생활
5. 맺음말
楓石 徐有榘「葆養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문석윤
1. 서론
2. 「보양지」 목차 구성에 나타난 기본 구조와 성격
3. 「보양지」 인용 문헌 분석 : 주요 인용 서목(引用書目)과 인용 빈도
4. 『수양총서(壽養叢書)』와의 관련성 문제
5. 「보양지」 형성 과정의 재구성
6. 풍석의 안설(按說)에 대한 분석
7. 「보양지」 편성의 특징
8. 맺음말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禮學과 經濟觀 / 이봉규
1. 서론
2. 서유구 예학의 연원
3. 「향례지(鄕禮志)」의 예식 내용과 특성
4. 「예규지(倪圭志)」의 경제관과 실학적 특색
5. 맺음말
『풍석 서유구 연구(하)』 집담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