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1 손병희 - 천도교 창건 후 ‘3·1혁명’을 기획·연출한 민족지도자이자 경세가
2 길선주 - 한국 최초의 목사, 새벽기도 창안한 ‘평양 대부흥운동’의 주역
3 이필주 - 구한국 군인·체육교사 출신으로, 감리교 대표로 선언서에 서명
4 백용성 - 풍금 치고 ‘찬불가’ 작곡, ‘선농일치’ 실천한 불교개혁론자
5 김완규 - <천도교회월보> 첫 발행인, 해방 후 다양한 정치·사회활동
6 김병조 - 임정 사료편찬 참여, 해방 후 시베리아 강제수용소서 사망
7 김창준 - 미국 유학 후 신학교수 활동, 1948년 남북협상 때 월북
8 권동진 - 구한국 무관 출신, 천도교 핵심 3인방으로 3·1혁명 추진
9 권병덕 - 최시형 도와 동학혁명 참여, 시천교 등 거쳐 천도교에 귀의
10 나용환 - 진보회 ‘평양 민회’ 회장, 천도교 중앙총부 중진 역임
11 나인협 - ‘갑진개화운동’에 적극 앞장, 해방 후 북한정권에 맞서다 월남
12 양전백 - ‘105인 사건’으로 옥고, 선천 지역 2세 교육에 앞장서다
13 양한묵 - 유일한 호남 출신으로 서대문감옥에서 옥사한 천도교 이론가
14 유여대 - 교육자 출신으로 태화관 참석 대신 ‘의주 3·1만세시위’ 주도
15 이갑성 - 유일한 민간인 출신으로 학생동원·선언서 배포에 크게 기여
16 이명룡 - ‘105인 사건’ 때 옥고, 해방 후 월남하여 애국선열 현창사업 펼치다
17 이승훈 - 사업가 출신으로 오산학교 설립해 민족교육에 재산과 몸 바치다
18 이종훈 - 33인 중 최고령자, 사회변혁·천도교 혁신운동에 앞장
19 이종일 - 언론인 출신으로 천도교 비밀조직 이끈 독립선언서 인쇄 책임자
20 임예환 - ‘갑진개화운동’에 적극 앞장, 해방 후 북한에 잔류·사망
21 박준승 - 동학혁명 참여한 천도교 중진, 권동진 권유로 33인 합류
22 박희도 - 독립선언·필화사건으로 두 차례 옥고, 끝내 친일로 변절
23 박동완 - 신간회 시절 재만동포 구호사업에 앞장, 하와이에서 타계
24 신홍식 - 이승훈 권유로 민족대표 참여, 절제·청년·농촌운동에도 맹활약
25 신석구 - 신사참배 거부로 구금, 해방 후 북한정권에 맞서다 처형
26 오세창 - 개화파 오경석의 아들, 언론인·서예가로도 이름을 날리다
27 오화영 - 일제 때 세 차례 옥고, 해방 후 정계에 투신하다 납북
28 정춘수 - 기독교 황민화에 앞장, 청주 삼일공원 동상 헐리다
29 최성모 - 신민회 회원 출신, 3·1혁명 출옥 후 만주에서 전도사업
30 최린 - 손병희가 총애한 천도교 핵심, 가출옥 후 친일로 변절
31 한용운 - 시인·승려 출신으로 신간회서 활동, 불교대중화에 힘쓰다
32 홍병기 - 손병희와 동학농민전쟁 참전, 고려혁명당 이끈 천도교 중진
33 홍기조 - 홍경래 후손으로 천도교 포교 활동에 큰 공로 세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