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역사 속의 문화와 형성에서부터 시작하여, 고조선과 삼국의 성립과 발전, 통일신라와 발해, 그리고 후삼국, 고려와 조선의 역사, 흥선 대원군과 새로운 문물, 광복과 대한민국의 시련, 그리고 평화통일을 위한 노력 등 우리 민족의 발자취를 알기 쉽게 풀이하여 수록하였다.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 우리 민족이 살아온 발자취
Ⅰ. 역사 속의 우리 문화
1. 역사란 무엇인가?
2. 한국사의 올바른 이해
Ⅱ. 우리 역사의 시작
1. 선사 문화의 형성
구석기 시대
우리 민족의 기원
신석기 시대-불을 만들다. 빗살무늬 토기. 움집. 뗀석기와 주먹도끼. 돌작살. 간석기
청동기·철기 시대-거푸집
2.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고조선-단군의 건국 이야기, 단군왕검
위만조선-한 군현(한4군)
고조선의 사회-고조선의 8조법
3. 고조선을 뒤이은 여러 나라의 성장
부여-부여 법의 특징, 제천행사, 영고
고구려-제가회의, 서옥제, 동맹
옥저와 동예-민며느리제, 무천
삼한-천군과 소도, 솟대, 귀틀집
Ⅲ. 삼국의 형성과 발전
1. 고구려
동명성왕-주몽의 탄생 신화: 해모수, 하백, 유화부인
부여와의 대결
고구려의 발전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한4군
광개토대왕의 활약
강력한 왕권의 장수왕
을지문덕과 살수대첩
안시성 싸움-양만춘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대막리지 연개소문
고구려의 최후
2. 백제
백제의 건국과 발전-한강 유역의 중요성, 담로(擔魯)
백제의 탄생
고이왕과 근초고왕
백제의 흥망성쇠
계백의 5천 결사대
3. 신라
신라의 건국과 발전
박혁거세의 탄생
신라의 발전
한가위의 유래
나라의 기둥, 화랑
백결선생의 떡방아소리
최초의 여왕, 선덕여왕
운명이 뒤바뀐 두 자매
삼국통일
4. 가야 연맹
가야의 성립과 발전
가야국 시조, 김수로왕
Ⅳ 통일신라와 발해, 그리고 후삼국
1. 신라의 삼국 통일
백제의 멸망과 부흥운동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운동
신라와 당의 전쟁
2. 통일신라의 발전
통일신라의 통치 제도
해상의 왕, 장보고
처용의 비밀
불국사와 석굴암, 그리고 김대성
그림자 없는 무영탑
신라 최대의 학자, 최치원
삼국시대의 불교
삼국시대의 유교
무덤의 변천
3. 발해
발해의 건국
발해의 성장과 발전
발해를 세운 대조영
발해의 영토 확장
발해의 멸망
4. 후삼국
태봉국의 궁예
후백제의 견훤
왕건의 유화부인
Ⅴ. 고려
1. 고려의 건국과 발전
왕건의 훈요십조
고려의 문물제도
거란의 1차침입
2차침입
3차침입
고려의 사회
최충의 구재학당
대각국사 의천
윤관과 여진정벌
2. 무신정권의 성립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무신정변의 발생
죽이고 쫓기는 무신의 반란
최씨의 무신정권
최씨 정권의 권력기구
3. 대몽항쟁과 삼별초
칭기즈칸, 몽골의 침입
삼별초의 항쟁
4. 공민왕의 개혁정치
원의 내정간섭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치
공민왕과 노국공주
문익점과 목화씨
위화도 회군, 고려의 멸망
5. 고려의 예술과 문화
유학과 역사서 편찬
불교 예술과 고려청자
금속활자와 인쇄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