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글
시작하며 ‘구체적 총체성’으로서의 소설연구방법론의 역사
제1부 근대소설 연구방법 이론의 역사
제1장 초기 마르크스주의 연구-1930년대 후반
‘구체적 총체성’으로서의 소설사론-임화
‘전형론’과 사회ㆍ윤리적 방법-김남천과 이원조
제2장 실증ㆍ비교문학과 형식주의 연구의 출발-1950년대
실증ㆍ비교문학적 연구-역사성의 퇴각
형식주의적 연구-탈이념 지향
제3장 사회·윤리(이데올로기) 연구의 출발-1960년대
사회·윤리적 연구의 강조
초기 리얼리즘론
제4장 리얼리즘론 대 구조주의·심리학적·신화 연구-1970년대
리얼리즘론과 민족문학론의 결합
구조주의·심리학적·신화 연구
제5장 마르크스주의·북한문예학과 문학텍스트사회학 연구-1980년대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부활
북한 문예학과 문학사 논의
문학텍스트사회학의 수용과 한계
제6장 문화·페미니즘 연구의 출발-1990년대
문화연구의 유형과 적용 사례
페미니즘 연구
제7장 탈구조주의·탈식민주의 연구와 최근의 논의-2000년대 이후
탈구조주의론의 대두
탈식민주의 이론의 수용과 비판적 극복
최근의 논의-문학·정치·윤리
제2부 근대소설 연구의 실제
제1장 임화에 의해 시작된 과학적 방법론-이인직 연구방법론의 역사
임화의 문예 사회학적 방법론-해방 전
실증적 방식의 검토-1950~60년대
민족문학론의 방법-1970~80년대
최근의 새로운 방법론들
제2장 ‘신소설’의 새로운 구도 짜기-이해조 연구방법론의 역사
임화의 방법론-이인직과의 비교를 통한 이원론의 방식
실증과 역사전기의 방법론
사회 이데올로기적 방법론
형식·문화 연구방법
제3장 ‘친일문학’의 논리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광수 연구방법론의 역사
김동인과 임화의 대비적 논의-해방 전
사회·윤리적 비판-해방 이후~1960년대
역사·전기적 연구의 심화-1970~80년대
방법론의 다각화-1990년대 이후
제4장 문학사의 인습적 평가에 대한 반성-김동인 연구방법론의 역사
형식주의적 연구-해방 후~1950년대
사회·윤리적 비평-1960~70년대
다양한 관점에 선 비판적 연구-2000년대 이후
제5장 ‘기교’와 ‘현실비판’으로서의 사실주의-현진건 연구방법론의 역사
민족·사회의식 관점과 전기적 연구의 방법론
형식·구조주의적 연구
최근 몇몇의 연구방식들
제6장 근대성·리얼리즘·민족문학 연구로의 도정-염상섭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창기의 논의-해방 전~1950년대
리얼리즘론을 통한 재인식-1960~70년대
리얼리즘론의 계승 및 연구 지평의 확대-1980~90년대
그 밖의 연구 방식과 탈식민주의-2000년대 이후
제7장 만주체험과 낭만성의 재인식-최서해 연구방법론의 역사
임화와 북한학계의 논의-식민지 시기~1950ㆍ60년대
간도의 발견과 사회이데올로기 연구-1970년대
임화 논의의 계승과 변용-1980~90년대
마르크스주의 논의 이후
제8장 ‘근대민족문학’적 도정 안에서의 재평가-한설야 연구방법론의 역사
식민지 시기의 논의
마르크스주의적 해석-1980년대 해금 이후
근대민족문학으로서의 재해석
문제와 가능성-최근의 논의들
제9장 G. 루카치의 연구방법론-이기영 연구방법론의 역사
마르크스주의의 비평적 논의-식민지 시기
루카치의 방법론을 통한 분석-1980년대
북한소설로의 연구 확대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의 관점
제10장 리얼리즘 너머 민중문학으로서의 발견-김유정 연구방법론의 역사
사회성과 민중성의 발견-1970년대 이후~1990년대
문화연구와 탈식민주의 방식의 접근-2000년대 이후
제11장 페미니즘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의 재인식-이효석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기의 평가-식민지 시기와 해방 직후
사회·윤리적 관점의 연구-1970년대
신화 또는 작가심리학의 관점의 연구-1980~90년대
페미니즘 관점의 연구
탈식민주의 관점의 연구
제12장 물화된 인간관계의 비판-이상 연구방법론의 역사
리얼리즘과 모더니즘론의 구도-식민지 시기
사회·윤리적 비평-1960~70년대
심리학적·전기적 방법론-1970~80년대
마르크스주의와 문화연구의 방법론-1990년대 이후
제13장 문학텍스트사회학적 접근-박태원 연구방법론의 역사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식민지 시기의 평가
사회이데올로기 방식의 연구-해금 이후
문학텍스트사회학과 담론 형식의 연구
문화연구
제14장 탈식민주의 관점에서의 재인식-이태준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기의 평가
북한의 비판-1950년대
역사전기 방식의 연구
탈식민주의 연구
그 밖의 연구방식의 논의
제15장 사회주의·페미니즘·탈식민주의-채만식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기의 평가
리얼리즘과 사회이데올로기 연구
문체 및 문학텍스트사회학, 비교문학 연구
페미니즘과 탈식민주의 연구
제16장 페미니즘 이론의 다양한 양상-강경애 연구방법론의 역사
역사전기·사회이데올로기 연구
페미니즘 또는 욕망의 역사유물론 방식
문화연구와 탈식민주의 연구 방식
나가며 한국 근대소설 연구방법론의 도정
참고문헌
부록
간행사